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1,53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위잉~, 쿵! 위잉~, 쿵”드디어 첫 출동이다! 우리는 어린이가 위험에 처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거대로봇 듀오야! 좀 전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았어. 어린이가 무너진 건축물 사이에 갇혔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거대로봇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거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 벌써 ... ...
- 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한 발로 중심을 잡아라!키는 4m, 무게는 1.6t이나 되는 거대로봇이 어떻게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을까요? 메소드-2 프로젝트에는 참여했던 서울과학기술대 김정엽 교수님을 비롯한 많은 로봇과학자들은 로봇이 두 발로 걷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발로도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하고 ... ...
- Part 5. [거대로봇]은 어디에 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사람에게 필요한 다양한 로봇의 탄생!한국미래기술은 내년 이맘때쯤 2.5m와 1.6m 크기의 거대로봇 두 대를 새롭게 개발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어요. 한국과학기술원 오준호 교수도 올해 말 FX-1에 팔을 붙인 형태의 거대로봇을 만들어 발표할 거라고 말했지요. 이렇게 거대로봇이 활발하게 연구되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로봇은 이 뇌파를 감지해 물건을 다른 상자에 넣는답니다.그러나 한양대학교 생체공학전공 임창환 교수는 로봇을 조종할 때 두피에서 측정한 뇌파를 이용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어요. 두개골의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왜곡이 생긴다는 거예요.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는 실제 뇌파의 80~90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07
-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일을 해요. 처음에는 그 일에 공학이 적합하다고 생각해 공학을 전공했어요. 그렇게 2년 정도 엔지니어로 일하며 과일을 포장하는 용기를 만들었어요. 이후 더 창의적인 일을 하는 보드게임 개발자가 됐지요. 그렇게 1981년부터 보드게임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보드게임 ... ...
- Part 1. [거대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영화 속 로봇이 현실로!그동안 거대로봇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 자주 등장했어요. 아주 오래 전 엄마, 아빠가 봤던 만화영화의 ‘로봇 태권브이’와 ‘마징가Z’가 대표적이지요. 최근에는 영화 ‘퍼시픽림’에서 ‘예거’라는 로봇이 등장했고, 아바타에서도 주인공이 거대로봇을 직접 조종하지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FX-1은 탑승형 로봇이지만 팔이 없어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조종석은 가슴이나 복부에!사람을 닮은 휴머노이드 디자인은 로봇이 사람과 비슷하게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팔을 이용해 도구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집는 등의 행위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7
- 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다음 숙제입니다.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07
- 보석이 있는 걸 모르고 폐차장에서 고생만 했죠.”최지웅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자동차 통신 기술을 처음 연구하기 시작하던 때를 이렇게 떠올렸다. 유선전화와 스마트폰 통신 시스템 전문가였던 그는, 벤처기업 경영진이자 통신전문가인 선배 강수원 박사의 제안으로 자동차 통신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망을 건설하는 실생활 문제를 풀기 위해서다.하모니 서치를 만든 김 교수도 토목공학을 전공했다. 클래식 음악 잡지에 글을 실을 정도로 음악을 좋아하다 토목 분야의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해 재즈를 응용했다. 김 교수는 “대학원 시절 활동하던 합창단에서 만난 수학과 교수님과 재즈과 교수님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