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염병"(으)로 총 43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10
- 콜레라균 같은 세균이 아닌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됩니다.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에게 옮지 않고, 구제역과 달리 우제류(발굽이 2개로 갈라진 동물)에게도 전염되지 않습니다. 공중화장실에서 옮는다?아주 드물게는 환자의 체액과 직접 접촉해 옮을 수도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10
- 밖으로 대피할 시간을 벌 수 있어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삼각형이지요?백신으로 전염병을 예방하듯 지진도 미리 막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오직 지진 피해가 최대한 없도록 노력하는 겁니다. 수학은 우리 집이 지진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우리 집에 가장 어울리는 지진 ... ...
- [수학뉴스] 당신의 메시지가 전염병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607
- 번 전화를 하고, 몇 건의 메시지를 보냈나요? 당신이 누군가와 연락하는 동안 놀랍게도 전염병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기특한 정보가 만들어집니다.미국 펜스테이트대 데이터과학과 다슌 왕 교수팀은 휴대전화 사용 내역에서 휴대전화의 주인이 어떤 패턴으로 이동하는지를 알아내는 데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07
- 연구팀은 좀비의 머리를 자르거나 뇌에 큰 손상을 입히면 좀비가 죽는다고 가정하고 전염병 모델을 만들었다.[미분방정식★ 풀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어 변화율을 구하는 데 많이 쓰인다.]잠복기 없으면 4일 만에 인류멸망만약 좀비가 되는 데 잠복기가 있다면 어떨까? 공격을 입은 즉시 바로 좀비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기억이 그렇게 쉽게 묻힐 수 있었던 것도 이것으로 설명이 된다.은성에 대한 사랑이 전염병처럼 동네에 퍼지고 있는 것이다. 은평구 안은성 팬클럽.누군가 기침을 했다. 지연 엄마였다. 환절기 감기일까? 아니면 지연 엄마도 감염된 것일까? 지연 엄마를 감염시킨건 윤정이었을까? 약이 감염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05
-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비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조류인플루엔자, 신종플루, 메르스 등 전염병이 돌 때마다 브릭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본의 아니게 ‘연구부정 제보의 메카’가 되면서 각종 제보가 쏟아졌다. 강수경 전 서울대 교수의 연구부정 제보가 처음 올라온 곳도 브릭이었다.“심지어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05
- 한때 공공연히 한약재로 사용돼 왔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일이다. 과거 한약재기록에는 전염병과 피부염, 종기, 습진 치료제로 웅황을 추천한 내용이 있고, 파리약이나 살충제로도 권했다. 하지만 몸에 바르는 등의 외용 약재로 사용을 권하고 내복약으로는 쓰지 말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04
- 한 사람의 시신도 기증할 수 있냐”는 문의전화를 걸어왔다. 나는 “신원이 확실하고 전염병이 없으면 기증을 받는다”고 대답했다. 얼마 뒤, 그녀를 시체농장에서 만날 수 있었다. 몸무게가 250kg이 넘었는데 사망하기 한참 전부터 거동도 못하고 약물로 간신히 생명을 버텨오다 자살을 선택한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04
- 재채기를 통해 주위로 쉽게 퍼져나갔습니다. 흑사병은 전염이 아주 잘되는 신종 전염병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쥐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도 이 주장을 뒷받침합니다.흑사병에 대해 좀 더 잘 알았더라면, 고양이와 쥐 사이가 지금보다는 좋지 않았을까요?옛날 사람들은 고양이를 싫어했다?“고양이는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03
- 세포에서도 자가소화작용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프랑스 연구개발기관(IRD) 전염병벡터연구실의 도로시 미스 박사팀이 사람의 피부세포에 침입한 지카가 자가소화작용을 유도해 세포를 망가뜨리는 모습을 실험으로 관찰한 것이다(doi:10.1128/JVI.00354-15). 뇌세포 등 신경계에서 같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