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돌림병
역병
유행병
전염성질환
매독
시체병
전염성 질환
d라이브러리
"
전염병
"(으)로 총 4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
수학동아
l
201602
가장 빠르다는 것을알아냈습니다. 보아투 교수는 “이 모형은 뎅기열뿐 아니라 다른
전염병
이 확산되는 양상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며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사이암 응용수학’ 2015년 12월호에 실렸습니다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01
예컨대 어떤 종의 생태적 환경에서 먹이를 잘 찾게 하거나, 포식자를 잘 피하게 하거나,
전염병
에 잘 안 걸리게 하는 등 개체의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주는 형질은 점차 개체군 내에 널리 퍼지게 된다.자기 몸에 딱 맞는 옷을 ‘핏(fit)이 좋다’고 흔히 표현하지 않는가. 바로 그거다. 유전적 변이들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딱정벌레와 무당벌레 등 농사를 지을 때 방해가 되는 해충이나 파리와 모기 벼룩 등
전염병
을 옮기는 해충들을 없애는 데 효과가 컸어요.하지만 살충제를 사용할수록 해충들이 이 약에 내성(약을 반복적으로 먹을수록 약의 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면서 사람들은 살충제를 점점 더 많이 ... ...
드론 미래를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4
골라서 채집할 수도 있답니다. 이 트랩을 실은 드론이 널리 쓰이면 모기로 인해 생기는
전염병
이 줄어들겠죠?지난 6월 15일 인천에 있는 을왕리 해수욕장에 해상 구조 드론이 등장했어요. 이 드론에는 카메라가 달려 있어서 본부에 있는 사람이 실시간으로 바다를 감시할 수 있어요. 또한 인명 구조에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3
유행이 반복되면서 현재 홍역은 백신을 미리 맞고 예방하면 언제든 물리칠 수 있는
전염병
이 되었지요.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도 최근엔 감염 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큰 병으로 이어지지 않을 정도로 그 힘이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되고 있어요.인간 유전자에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
전파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잎의 탄력성과 비가 내리는 속도를 조사하면 식물
전염병
이 어떻게 퍼지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앞으로는 비에 대한 연구가 식물을 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몰라요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2
요즘은 날씨가 따뜻한 열대나 아열대 지방에도 살고 있어요.저는 황열, 뎅기열과 같은
전염병
을 옮겨요. 그래서 사람들은 저를 자꾸 없애고 싶어 하죠. 2010년에는 자손을 낳지 못하는 유전자변형 이집트 숲모기 ‘OX513A’를 만들어 브라질, 파나마 지역에 풀어 놓기도 했죠. 하지만 OX513A를 풀어놓는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11
협상이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구제역이나 메르스 같은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
을 볼 때 흔히 이분법으로 생각합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돼 고통 받는 상태나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압한 상태,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하죠.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있습니다. 숙주와 바이러스가 어떻게 관계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10
항구에 접한 바르셀로나의 구도심에서 처음 시작됐다. 과학자들은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
이 위생적이지 못한 도시환경에서 쉽게 퍼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리가 이렇게 살다가는 죽을 수도 있겠구나’ 위협을 느낀 사람들은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 개조운동을 시작했다. 1853년 살인적인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
게다가 농장에서는 바나나를 많이 얻기 위해 촘촘하게 심어요. 그 결과 야생에서보다
전염병
이 더 빨리 퍼진답니다. 유전공학으로 바나나를 살려라!우리들의 유전자가 똑같은 게 문제였군! 그런데 내가 듣기론 요즘 기술이 워낙 좋아져서 유전자도 막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던데…. 그렇게 하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