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으)로 총 1,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12
- 미국항공우주국은 그 해의 가장 큰 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명백한 천문학 용어가 아니라 좀 애매하죠. 어쨌든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평균 38만4000km인데, 슈퍼문이 뜰 때는 35만7000km 정도까지 가까워집니다. 이런 현상은 보통 12~14개월마다 한 번 꼴로 나타납니다. 물론 이번 슈퍼문은 ...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과학동아 l201611
- 것을 확인했다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브레드 와젤린 천문학 교수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에서 7년을 주기로 별점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별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이는 부분이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2002년에 처음 발견됐을 당시, 태양의 1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11
- 겪으면서 연구비가 줄었다고는 하지만, 규모나 설비는 여전히 어마어마합니다. 전파 천문학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소 시설 중에 관측소가 따로 있고요, 연구소에 서 사용할 실험 기기를 만드는 전용 공장이 30km 거리에 따로 있을 정도입니다. 또 1990년대 이후에 해외로 이직한 연구원들이 꽤 많았다고 ...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과학동아 l201611
- 것보다 10배나 많은 은하가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크리스토퍼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는 3차원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
- 세 가지 조건은 그야말로 가장 단순한 필수조건일 뿐이다. 그 외에도 얼마나 다양한 천문학적 조건이 맞아야 할지, 조건이 맞더라도 얼마나 큰 확률로 실제 생명의 진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몇 가지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10
- 연구에 협력해 주길 바라고 있다.중력파천문학은 이제 막 시작이다. 우리는 새로운 천문학의 역사적 순간에 살고 있다. 앞으로 중력파가 우리에게 보여줄 초기우주의 모습은 어떠할까. 오정근 박사는 “수학자들이 함께 협력해 라이고의 실험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길 바란다”며, 중력파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있지만 이들 모두 연구비를 지원해 주는 연구소 소속이었다. 그렇다고 이 연구소들이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3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는 정부로부터 연간 약 4000만 파운드(약 580억 원)를 지원받는다.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09
- 확인돼중력파, 전자기파 등 우주에서 오는 여러 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다중신호 천문학’ 분야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KAIST 홍보대사인 ‘카이누리’ 학생들이 직접 전공을 소개한 이공계 진로탐험과,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과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09
-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밟을 때까지, 장구한 천문학의 역사를 되짚는다.이 책이 특별한 건, 이 발견들을 직접 실험하면서 체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점이다. 천체 사진가이자 우주 칼럼니스트인 에마뉘엘 보두엥과 물리학 교수 카트린 에벙 보두엥 부부가 ... ...
- [과학뉴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과학동아 l201609
- 박사팀은 추리가 작은 먼지가 차곡차곡 뭉쳐서 우아하게 만들어진 혜성이라고 ‘천문학과 천체물리학’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혜성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외부 충격으로 암석처럼 커다란 물체 일부가 떨어져 나와 성이 될 수도 있고, 작은 먼지가 조금씩 쌓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