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으)로 총 1,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08
- 계산해도 결과를 낼 수 없을 정도로 큰 수의 계산이 수두룩했다. 그래서 큰 수의 계산은 천문학자들의 골칫거리였다. 네이피어는 이런 큰 수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고, 그 결과 로그를 발명하게 됐다. 로그를 이용하면 곱셈과 나눗셈을 각각 덧셈과 뺄셈으로 바꿔 계산할 수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08
- 되기도 하고, 또 반대로 파란 은하가 빠르게 혹은 느리게 빨간 은하가 될 수도 있다.최근 천문학자들은 보다 먼 우주를 관측해 우주의 나이와 은하가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빨간 은하와 파란 은하, 그리고 그 사이의 초록색 은하의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 연구 중이다. 또, 컴퓨터 ... ...
-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과학동아 l201607
- 삼아 우주를 밝히는 활동성 은하핵 이야기다. 우주라는 거대한 망망대해를 탐험하는 천문학자들의 등불이자, 은하의 운명을 결정해 온 활동성 은하핵을 집중 조명했다.활동성 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i)보통 이상의 광도를 내는, 은하 중심의 매우 좁은 영역. 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07
- 너무 작기 때문이다. 김연구원은 “2020년대 초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이 완성되면 관측천문학이 또 한번 도약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세운 AGN 관련 가설을 대폭 수정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07
- 떨어져 있으면서도 태양의 수조 배에 달하는 빛을 내는 AGN은 우주의 등불 같은 존재다.천문학자들이 AGN을 연구하는 이유가 한 가지 더 있다. AGN에서 나오는 강력한 에너지가 AGN을 품은 모은하의 진화에 어떻게든 막대한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예측되기 때문이다. AGN이 우리은하 근처보다는 주로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또한 중력파를 이용하면 또 다른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채울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천문학자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궁금해 하고 있어요. 중력파 연구를 통해 이 답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답니다.현재 우리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망원경으로 우주를 보고 있어요.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06
-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발견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도록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연구팀은 망원경으로도 보기 힘들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가 공전하는 궤도를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06
- 공전면도 심하게 기울어져 있었다. 결국 세레스는 소행성★으로 분류됐다.미국의 천문학자 마이클 브라운이 2003년에 발견한 에리스(원래 이름은 2003 UB313)는 당시 행성으로 인정받고 있던 명왕성에 이어 열 번째 행성이 될 뻔했다. 그러나 에리스는 명왕성보다도 더 길쭉한 타원궤도를 그리며 태양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06
- 수천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 ... 계속 보라는 거냐’는 불평이 나올 수도 있고요. 미래의 일이지만, 이제 중력파 연구자와 천문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06
- 데 가장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입니다.“학회 발표 등 경험 필요”(C 연구원. 국내 대학 천문학 전공 박사후연구원)박사학위 논문 하나만으론 독립적인 연구자로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수업조교 경험, 학회 발표 경험, 다른 연구자와의 공동연구 같은 경험들이 모두 필요합니다. 특히 학회 발표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