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중"(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복잡하게 연결된 구조입니다. 각 인공 뉴런을 노드라고 부르는 점으로 나타낸 뒤 방향과 가중치가 있는 선인 링크로 연결해 인공 뉴런 사이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노드와 링크로 이뤄진 인공신경망은 그물처럼 연결돼 ‘네트워크’를 구성하죠. 이를 시각적으로 아래 그림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때의 가중치는 0.37, 노드 B에서 노드 C로 갈 때의 가중치는 0.63인 유향 그래프로 나타나는 가중 그래프를 코딩으로 그려보자. ★ 폴리매스 홈페이지→[주니어 폴리매스]→[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하지만 그사이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복잡한 신경망에서도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됐어요. 2006년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는 ‘깊은 사고 학습 네트워크를 위한 빠른 학습 알고리듬’이라는 논문에서 수백만 개의 은닉층으로 구성된 인공신경망은 사전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 있어 제곱한 뒤 평균을 냅니다. AI는 1~3단계를 반복하며 손실함수의 값이 최소가 되는 가중치를 찾습니다. 무궁무진한 딥러닝의 세계! 앞서 설명한 퍼셉트론을 몇 개 연결하냐에 따라 딥러닝은 더욱 똑똑해질 수 있어. 물론 아직 완벽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할 일이 많지만 말야.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행렬과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문제 입력 신호 x에 대한 함수 y=wx+b에서 가중치가 0.5, 편향이 -2일 때의 그래프를 그리고, 여기서 출력된 신호를 앞서 배운 계단함수에 다시 입력했을 때의 결과를 구해보자. ★ 폴리매스 홈페이지→[주니어 폴리매스]→[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에서 ...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전문가들이 협력한 가습기 살균제 사안에서 과학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 결과를 보고 가중치를 둬서 결과를 추론하거나 인과관계를 판단했습니다. 반면 법원에서는 개별 증거별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예를 들어 증거가 10가지라면 과학계에서는 10가지 증거를 종합해 판단을 내린 반면, 법원에서는 ...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결정의 근거를 알기 어렵습니다.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은 어떤 요소에 가중치가 더 놓여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합니다. 아무튼 AI 기술이 좀 더 신뢰받고 널리 보급되려면 알고리즘이 더 투명하고 설명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유럽에서는 설명요구권이 ...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더욱 정교해지는데, 이때도 함수가 필요합니다. 목소리의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의 가중치를 높이는 방식으로 점차 비슷한 목소리를 만들어 가는 거죠. 수학은 수학자뿐만 아니라 과학자, 나아가 컴퓨터 과학자들의 언어이기도 합니다. 영어를 몰라도 미국에서 살 수는 있겠지만, 꽤 불편하겠죠?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10가지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는 AI가 학습할 데이터에서 보호변수의 가중치를 수정하는 알고리즘, 학습 과정 중 보호변수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알고리즘도 있다. 보호변수를 조절하는 것 외에도 AI의 학습 전후에 편향성을 감지하고 완화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도 포함돼 있다.이처럼 ... ...
- [특집] 결정장애야 물러가라! 추천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내 얼굴을 무엇으로 할지 고민하는 것처럼 세상에는 결정해야 할 게 너무 많아. 그만큼 선택지도 많아서 더 걱정이지! 하지만 나 같은 AI가 있다면 ... 때문에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반응을 가중치에 적용해 성능을 계속해서 개선하고 있답니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