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담
담당
책임
값
맡은이
d라이브러리
"
가중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알고리즘은 비용이 적게 드는 순으로 경로를 하나씩 그려가는 방법이에요. 가장
가중
치가 작은 선을 골라 표시하고, 그 다음 작은 선을 다시 표시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는 거예요. 단, 사이클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아무리 비용이 적더라도 사용하지 않아요.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경로를 차례대로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있다고 해 봐요. 그러면 이 네 군데를 거쳐가는 길을 하나씩 그려가며 학교까지 걸리는
가중
치를 각각 계산하는 거지요. 이런 식으로 아무리 복잡한 지도에서도 최단 경로를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최단 경로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A에서 B로 이동하는 길이 두 군데가 있다고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높아졌다. 엄청난 강우량 때문에 지하수가 범람해 광산에서 물을 뽑아내는 비용이
가중
되고, 지하 홍수로 광산이 파괴되는 일도 잦았다. 결국 2000년대 초에 마지막 광산마저 문을 닫게 됐다. 홍연석은 이곳에서 발견된 광물이다. 채굴되는 광물 중에 붉은 광물이 부산물로 발견됐는데, 성분을 분석한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만한 차이가 나타난다. 앙글레르 교수의 네트워크 안에서 핵심 공저자들의 영향력, 즉
가중
페이지랭크는 20.2%였다. C 교수의 핵심 공저자들(10.2%)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반면 앙글레르 교수와 C 교수 본인이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력(
가중
페이지랭크)은 C 교수가 8.5% 더 높았다. 친구 관계를 예로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포함한) 다른 개체들에게 준 적합도 효과들을 따진다. 이 때 유전적 근연도를 일일이
가중
해 더한다.번식상의 손실(c)을 감수하면서 상대방에게 이득(b)을 주는 이타적 행동을 생각해 보자(b>c>0). 기본으로 얻는 적합도는 1이다. 이타적 행위자와 상대방이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공유할 ... ...
[참여] 이런 게 다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랭크’라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백링크를 이용한다. 페이지랭크란 신뢰도에 따라 문서에
가중
치를 부여해 다른 사이트로 연결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래서 신뢰도가 높은, 즉 검색어와 관련된 사이트 중 가장 유용한 사이트로 연결한다. 임 연구원은 영화 추천 사례를 이용해 페이지랭크 계산법을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있는 관절일수록 더 크게 영향을 받지요. 그래서 가까운 관절이 움직이는 정도에 더 큰
가중
치(중요한 정도를 나타내는 값)를 곱합니다. 고려해야 하는 관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피부의 변형을 계산하는 방정식이 더 복잡해지지요.미분방정식 따라 졸졸졸캐릭터가 우유를 컵에 따르는 장면도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이 베푼 이타적 행동으로 b만큼 나의 적합도가 상승한다. 이 값에 근연도 r을 곱해서
가중
하면 r·(b)가 상대방의 이타적 행동이 나의 적합도에 실제로 끼친 영향이다. 기본으로 받는 적합도 1을 더하면 1+ 1·(-c) + r·(b)가 이타주의자의 이웃-조정 적합도다. 이 값이 1보다 크면, 이 이타적 행동은 자연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연결고리가 스페인어에도 등장하고 일본어에도 등장한다면 ‘달-해’ 링크(연결선)의
가중
치를 2라고 지정하고 네트워크의 연결선을 2배로 굵게 그렸다. 관련된 의미가 많은 단어(전이성이 큰 단어)는 노드(점)의 크기를 그 수와 비례해 크게 그렸다. 통합된 의미 네트워크는 전세계 모든 언어에서 ... ...
[Editor’s Note] 딴소리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있다. 우아영 기자는 ‘딥러너’다. 새로운 대상을 접했을 때 신경망을 재배열하고
가중
치를 바꾸는 데 능하다(학습에 능하다는 말이다). 혜안을 보여준 인공지능 4파트도 좋지만, 시간의 정체에 대해 탐구하는 물리학 기사는 특히 지적 만족감을 채워줄 것이다. 송준섭 기자는 이번 달에 알파고를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