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이지"(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상황을 물리학자들은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졌다”고 말한다(120쪽 그림 1).앞에서 게이지 대칭성이 있으면 질량을 가질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런데 대칭성이 자발적으로 깨지면 표준모형에서도 입자가 질량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현실과 이론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할 가능성이 생긴 셈이다.질량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갖게 할까. 먼저 게이지 입자 중 광자와 글루온은 질량이 0이다. 나머지 게이지 입자는 게이지 대칭성이 깨지면서 질량을 얻고, 그 과정에서 힉스가 생긴다. 쿼크와 렙톤의 질량은 힉스와 결합하는 세기에 비례한다. 기본 입자는 모두 힉스와 상호작용하면서 질량이 생기는 것이다.좀 더 쉽게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된다. 이제 게이지를 이용해 콧수와 단수를 정하자. 머리둘레는 코, 높이는 단이므로 게이지가 18코 30단일때, 10cm : 18코 = 57cm : x코, x ≒ 103코10cm : 30단 = 9cm : y단 , y = 27단, 즉 103코 27단을 뜨면 된다. 하지만 이대로 쭉 짜면 반구형이 아니라 원통 모양이 되므로, 원통 모양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받은 부위는 전두엽의 피질이었다.전두엽이 퇴행해 전두엽치매에 걸린 환자들에게서도 게이지와 비슷한 행동이 나타났다. 일부 폭력적 범죄자들의 경우 뇌검사를 하면 전두엽 기능이 저하돼 있다. 이처럼 뇌의 일부분이 상해를 입으면 성격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례는 계속해서 ...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사람의 뇌 속을 들여다보면서 연구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미국 소크연구소 프레드 게이지 박사팀은 정상인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피부를 역분화시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든 뒤 이를 신경세포로 분화시켰다. 줄기세포는 서로 구분할 수 없었지만 여기서 만든 신경세포는 두 집단에서 뚜렷한 ...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페르미온인 전자는 ‘셀렉톤’이라고 이름 붙은 보손이 있다는 식이다. 이 이론에서 게이지 보손(광자와 Z보손)과 힉스 보손의 페르미온 짝을 ‘뉴트랄리노’라고 부르는데, 유력한 윔프 후보다. 이 외에도 ‘그래비티노’ 등 가벼운 초대칭 입자(LSP)가 포함된다. 현재 이탈리아의 ‘다마(DAMA)’, ...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입자인 W와 Z보손이 질량을 가지게 되는 모델을 발표한다. 이때 전자기력에 해당하는 게이지 대칭성은 남는다. W와 Z보손의 커다란 질량 때문에 약한 상호작용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만 작용하고 전자기 상호작용에 비해 작은 크기로 작용한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전자기-약작용을 잘 ... ...
-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물리학부 연구교수는 “물리학의 기본 힘은 게이지 입자를 매개로 하는데, 이게 새로운 게이지 입자라면 새로운 힘도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물리학계에는 아직 두고 봐야 한다는 반응이 많다. 만약 사실이라면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하는 대단한 발견이지만, 단지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좀 더 가까운 원숭이의 치상회에서도 신경세포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같은 해 게이지 박사팀은 마침내 사람의 치상회에서도 세포분열이 일어남을 확인해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했다. 게다가 평균나이 64세인 5명의 뇌에서 관찰한 결과였기 때문에 신경생성이 노인에게서도 ...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놀랍게도 수술 뒤 몇 주 만에 완전히 회복했다. 그 대신 친절하고 분별력 있던 게이지는 거만하고 고집이 세며 충동적인 사람이 돼버렸다고 한다. 전두피질에 입은 손상이 그의 성격을 바꾼 것이다.‘우연한 마음’은 이외에도 사람이 경험을 토대로 기억하는 이유, 사람이 동물과 달리 종족번식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