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계측기
계기
규격
기준
계량기
gage
d라이브러리
"
게이지
"(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변환을 하더라도 주어진 물리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기초로 하는 이론 표준모형은
게이지
이론의 일종이다체격이 크고 네 다리로 걷는 초식 또는 잡식성 공룡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 ...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 태초에 빛이 있으라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합쳐져 소멸하여 광자가 된다 광자와 π중간자는 자기자신이 스스로의 반입자이다
게이지
장의 양자론 원자핵 속의 강한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다열역학의 3가지 법칙가운데 하나로 쉽게 말해 외부로부터의 열이나 변화 없이 열을 저온상태에서 고온상태로 옮길 수 없다는 법칙 자연계에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부품에 있는 둥근 모양을 검사하는 윤곽
게이지
의 하나 반지름을 검사한다는 뜻에서 R
게이지
라고도 한다둥근 모양의 반대 모양으로 된 여러 가지 치수의 얇은 강철판을 한 벌로 하고, 이것을 부품에 대었을 때 빛이 통하지 않으면 합격으로 한다용질의 참 분자량과 삼투압의 크기 등으로 구한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10만개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식했는데, 그 중 0.1%가 쥐의 신경세포로 분화했다.
게이지
박사는 “이식된 인간배아줄기세포가 인간보다 쥐의 뇌세포에 더 가깝게 성장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밝혔다. 인간 뇌세포 지름은 보통 17마이크로미터(1㎛=100만 분의 1m)인데 이식된 인간의 ... ...
금성의 베일 벗길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微小距離)를 두고 전자운(電子雲)을 형성하는데, 이 구름을 공간전하라 한다공작용 커터·
게이지
·나사 등의 치수·각도·윤곽 등을 측정하는 현미경 피측정물을 올려놓고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재물대(載物臺)가 있고, 그 이동량을 마이크로미터 또는 표준척으로 읽을 수 있다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 헤드, 또는 다이얼
게이지
를 갖춘 마이크로미터 깊이
게이지
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봄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중국에서는 28수(宿)의 마지막 수인 진(軫)으로 불렸다처녀자리 · 바다뱀자리 · 컵자리 등에 둘러싸인 5개의 별이 이루는 비교적 작은 별자리이다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변환을 하더라도 주어진 물리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기초로 하는 이론 표준모형은
게이지
이론의 일종이다체격이 크고 네 다리로 걷는 초식 또는 잡식성 공룡두 발로 걷는 육식성 공룡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것까지 확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것을 특히 비아벨
게이지
이론(QED이론을 아벨
게이지
이론이라고 함)이라고 한다 두 패의 입력단자에 동시에 신호가 들어갔을 때만 출력신호가 나타나는 회로 전자계산체계 등에서 논리회로의 and 회로가 그 본보기이다3당류 겐티아노스를 설탕효소 또는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합쳐져 소멸하여 광자가 된다 광자와 π중간자는 자기자신이 스스로의 반입자이다
게이지
장의 양자론 원자핵 속의 강한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다열역학의 3가지 법칙가운데 하나로 쉽게 말해 외부로부터의 열이나 변화 없이 열을 저온상태에서 고온상태로 옮길 수 없다는 법칙 자연계에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걸쳐 병이 서서히 진행되는 퇴행성 뇌질환의 경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미국 솔크연구소
게이지
박사는 운동신경이 서서히 죽어 루게릭병이 걸린 생쥐에게 GDNF라는 성장인자를 주입해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죽는 것을 막는데 성공했다. 또 미국 존스홉킨스대 기어하트 박사는 생쥐에 인체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