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분자와 충돌하기까지의 평균 거리인 ‘평균 자유 거리’ 공식을 이용했다. 그리고 이 공식으로 사건이 벌어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투구 수를 구했다. 대략적인 수치를 이용해 구한 평균 자유 거리는 약 36000km로, 이 값을 투구 거리인 18.44m로 나누면 약 195만 2277로, 이만큼 던져야 때마침 그곳을 ... ...
- 하스스톤 확률 이용해 카드 내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지나쳐 버리기 일쑤다. 긴장한 탓일까? 아니면 내 손이 ‘똥손’인 걸까? 비밀은 ‘감도 공식’에 있다. 감도는 마우스를 움직였을 때 화면에서 조준점이 얼마나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마우스의 감도와 게임에서 조정할 수 있는 민감도를 곱한 값이다. 마우스의 감도(DPI)는 마우스를 1인치 ... ...
- [특별기획] 펄사의 짝별 미스터리 천체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큰 귀를 만드는 ‘SKA(Square Kilometer Array)’ 프로젝트. 약 40년에 걸쳐 준비 중인 프로젝트가 공식 출범도 하기 전에 첫 성과를 냈다. 우리은하내 펄사 곁을 도는 미스터리 천체를 발견한 것이다. 펄사와 쌍성을 이루고 있는 동반성(짝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미스터리 천체를 추적하는 과정과, SKA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했다. 사건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결국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봄비에리는 공식적으로 이 사건에 대해 해명했다. ‘풀었다’고 주장한 지 4개월 만에 세상 떠나 2018년 9월, 20세기를 대표하는 수학자 중 한 명인 마이클 아티야 교수가 ‘리만 가설을 풀었다’라고 주장하면서 곧바로 수학과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00m 달리기뿐만 아니라 트레드밀 위에서 측정한 실내 주행 속도도 초속 6.5m로 하운드가 비공식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박 교수의 안내에 따라 하운드의 성능 개선 작업이 한창인 연구실로 들어섰다. 하운드의 주행을 시험하는 거대한 트레드밀이 눈을 끌었다. 그 옆에는 조정을 기다리고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팀도 새로운 재판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때 ‘AI 판사’라는 단어도 언론에 공식적으로 등장했다. 이 재판 예측 시스템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유럽인권재판소(ECHR)의 판결 사례를 학습했다. 알고리즘의 예측은 유럽인권재판소의 실제 판결과 약 79% 일치했다.GPT, 미국 변호사시험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더 큰 받음각까지 폭넓게 꾸준히 양력을 만듭니다. 논문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식과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해,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더 큰 받음각에서도 양력계수의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최대 양력의 크기는 돌기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후 위기를 겪는 개발도상국에 금전적 보상을 하도록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이 공식 출범했지요. 이 자리에 바로 저를 포함해 6명의 선생님이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 교사들이 총회에 참가한 건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COP28에서 발표한 내용을 함께 자세히 살펴볼까요? 내가 쓰는 전기,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있었으니, 바로 소수다. 소수에 흠뻑 빠진 메르센은 모든 소수를 나타낼 수 있는 수학 공식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지 못하고 일정한 형태를 가진 소수를 깊게 연구한다. 연구 과정에서 n이 1보다 큰 자연수일 때 Mn = 2n - 1인 수에 소수가 유독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형태의 수를 훗날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학술원에 가입하기 위해 학술원 간행물에 냈다. 이 논문에서 리만은 가우스가 만든 공식 Li(x)와 실제 개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를 줄여 줄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가우스가 거의 발굴해 놓은 소수 황금계단 위에 쌓인 흙먼지를 섬세하게 벗겨내는 데 안성맞춤이었다. 획기적이었지만 이 방법에는 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