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기록된 바 있지만, 그 이후에도 주로 보고된 것은 빈대종이었습니다. 반날개빈대는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이 2021년 12월 경기도 오산에서 채집된 기록입니다. 무려 90년 만이었습니다. 반면 2023년 발견되는 빈대들은 대부분 반날개빈대입니다. 반날개빈대와 빈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 교수는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왓슨과 크릭은 프랭클린의 DNA 구조에 관한 결정학 데이터가 없었다면 이중나선 모델을 공식화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을 것임을 인정했다.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을 취재한 시사잡지 ‘타임’의 기자 조안 부르스 역시, X선 회절 분석을 통한 실험적 증거 수집 팀(윌킨스와 프랭클린)과 이론 팀 ... ...
-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가장 맛있는 토핑과 도우의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이 공식을 활용할 수 있다. 피자 공식에 따르면 이상적인 토핑의 비율은 피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더 작은 피자는 큰 피자보다 상대적으로 토핑을 더 두껍게 올려야 맛있는 피자를 만들 수 있다. 쳉의 제안대로 크림티 스콘이든, 피자든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따라서 분석팀은 SNS에서 치킨 언급량과 날씨, 시가총액을 활용해 ‘치킨 지수’ 공식을 만들었다. 빅맥 지수, 스시 지수로 경제 엿본다 햄버거도 우리 생활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값을 ‘빅맥 지수’라고 한다. 세계 곳곳의 맥도날드 매장에서 ... ...
- 몇 번째 사귄 사람과 결혼할까? 비서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n명과 사귀고 현재까지 x명에게 퇴짜를 놨다면 결과가 어떨까? 최고의 배우자와 결혼할 공식은 이다. 일반적으로 x가 n의 36.7%일 때, 정확히 말해서 x가 n/e일 때 최댓값이 된다. 여기서 e는 오일러의 수로, 약 2.718이다. 따라서 총 15명을 사귄다면 5명까지 사귄 다음에 지금까지 만난 사람보다 더 멋진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묶어 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한우 맛 등급 알려 주는 공식도 있다! 어떤 소고기가 맛있을까? 보거나 만져 보고 알 수 있다면 좋겠지만, 먹어보기 전에는 알기 어렵다. 2010년 국립축산과학원은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주기 위해 소고기의 맛을 예측하는 수학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9월에는 아이돌 아이브의 노래 ‘I AM’의 뮤직비디오를 로블록스 버전으로 만들었어요. 공식 뮤직비디오와 최대한 비슷한 느낌을 내면서 로블록스의 특색을 녹여 만든 덕분에 구독자들이 댓글로 좋은 반응을 보였던 기억이 납니다. 이뿐만 아니라 드라마 스토리를 직접 구성한 뒤 로블록스 드라마로 ...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풀이된다. 시민들의 생각을 자세히 듣고 싶었다. 과학동아는 2023년 11월 27일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를 통해 일회용품 폐기물 문제에 관해 그간 궁금했던 점을 물었다. 독자들이 남긴 댓글을 살펴보면 일회용품에 대한 규제가 실제로 환경에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 궁금해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목격했다는 주연우(닉네임 전독위 3기 주연우) 님의 글입니다. 2023년 12월 2일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최초 공개된 내용을 함께 보시죠. 특별한 대기광학 현상, 브로켄 현상 안녕하세요, 과학동아 독자 주연우입니다. 1월, 새해 다짐도 굳힐 겸 등산을 많이 갈 시기죠. 혹시 산꼭대기나 능선에서 ... ...
-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영국 수학자 제임스 실베스터는 서로소 관계인 두 수가 있을 때 동전 수를 찾는 방법을 공식으로 만들었다. 그 이유는 서로소인 수 사이에서만 동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서로소인 두 수 a와 b의 동전 수는 (a - 1)(b - 1)-1이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Part2. 푸딩 쏙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