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근간"(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말인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에 사용될, 차와 행인을 구별하는 중요한 시스템의 근간이 될 거라는 친구의 위로를 듣는 것도 별 소용은 없었다. 반려, 반려, 반려가 쌓여갔다. 좀 더 타이트하게 박스를 그려주세요. 백미러를 가리지 않게 해주세요. 하, 씨. 크라우드 플랫폼이라더니.이건 집단지성이 ... ...
- [인터뷰]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말한다! 수학으로 통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최 장관님은 교육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디지털 뉴딜과 각종 과학, 공학기술 발전도 그 근간이 되는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특히 최 장관님은 “최근 AI와 소프트웨어가 각광받고 있지만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단순히 코딩을 잘하는 것보다 ‘컴퓨팅 ...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기존 산업의 근간을 흔드는 전혀 새로운 접근과 신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행히 최근 각국 정부의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탄소 저감과 CCUS 기술 개발에 가속도가 붙었다. 탄소중립이라는 쉽지 않은 목표를 위해 정부와 ... ...
- [특집] 종이접기로 에프매스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아니다!Part2. [특집] 모든 물체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Part3.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Part4. [특집] 종이접기로 수학 문제도 푼다!Part5. [특집] 따따따! 따~! 따~! 따~! 따따따! 종이접기 꿀팁 알려주세요~Part6. [특집] 미션 성공! 에프매스의 영롱한 자태 공개♥ ★ 도움서원선 ... ...
-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확실히 에프매스도 접을 수 있다는 걸 알았으니 종이접기에 도전해볼까? 뭐? 수학처럼 종이접기에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알아야 할 ‘공리’가 있다고? 종이접기는 점이나 선, 면, 공간 등의 관계를 연구하는 기하학 분야의 주제 중 하나입니다. 많은 수학자가 연구해서 다양한 규칙을 찾았죠. 그 ... ...
- 가장 과학적인 게 가장 예술적이다, 미술작품 속 숨겨진 빛의 과학과학동아 l2020년 04호
- 19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과학자들은 빛의 본질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며 현대 물리학의 근간을 마련했다. 쇠라의 파격적인 화법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전기, 자기, 광학 현상을 수학 방정식으로 통합한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은 여러 가지 색상을 칠한 팽이를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수 없다. 기초과학 연구 과정에서 밝혀지는 하나의 실마리가 향후 세계적인 기술특허의 근간이 될 수도 있다. 강 씨는 “기초과학은 퍼즐의 구멍 난 부분을 메꾸는 작업과 같다”며 “기업도 연구비 지원 기준의 다양성을 확대해 기초과학에 대한 연구지원을 늘리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구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자세히 보면 생활 속 이곳저곳 안 쓰이는 곳이 없습니다. 실제로 군론은 현대 수학의 근간이 됐다고 할 정도로 수학에서, 심지어 수학을 넘어 다른 학문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 물리학의 두 기둥인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의 중심엔 ‘리군’과 각종 ‘행렬군’이 있습니다.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기기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진다. 특히 미래 인공지능(AI)을 통한 초 연결시대를 구성하는 근간 기술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11월 14일 대전에서 만난 윤호섭 UST-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쿨 ICT전공 교수(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책임연구원)는 인공지능 중에서도 시각 기술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대변되는 현대 입자물리학, 그리고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등 여러 관측 사실을 근간으로 만들어졌고, 이를 우리는 현대우주론 또는 표준우주모형이라고 부른다. 중성자의 수명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초기 우주 모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빅뱅 후 생겨난 양성자와 중성자는 이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