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요사이
근래
최근
최신
근대
근자
d라이브러리
"
근간
"(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아니라 단순하지만 논리적인 사고실험을 통해서 말이다. 이것이 바로 고전 물리학의
근간
을 이루는 ‘관성’이다. 갈릴레오에 이어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에 완벽한 종지부를 찍은 사람은 바로 뉴턴이다.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뉴턴의 머릿속에 번쩍 떠오른 생각은 ‘사과가 지구로 떨어지듯 달도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혹은 단세포 생물은 여전히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희망이었다. 생물이 아니더라도 생명의
근간
이 되는 물과 탄소의 흔적은 찾을 수 있을지도 몰랐다.아쉽게도 큐리오시티는 기대했던 유기물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것이 화성에 생명체가 없어서라고 단정짓지 않았다. 지표면에서 ... ...
상한 머리카락 자르는 게 답이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기와가 쌓인 것처럼 겹겹이 5~10층 정도 쌓여 있으며, 많을 땐 20층도 쌓인다. 머리카락의
근간
을 이루는 피질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인데 벗겨지지 않고 가지런히 있을 때 빛을 반사하며 윤기를 흐르게 한다. 수분을 함유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 큐티클 층의 바로 아래에는 죽은 ... ...
분자 촉매 및 반응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촉매 및 반응공학 기술은 필수 요소다.3 어디에 있어요?반응공학이나 촉매는 화학반응의
근간
을 이루는 내용이다. 따라서 공대의 화학공학계열 학과에는 거의 대부분 이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기업체의 연구소도 있지만, 기업들이 각 대학의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기도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하지만 내 생각엔 그건 디자인의 의미와 정반대입니다. 디자인은 인간이 만든 창작물의
근간
을 이루는 영혼입니다. 그 영혼이 결국 여러 겹의 표면들을 통해 스스로를 표현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디자인 사고를 언급한 흥미로운 진술이다.디자인 사고가 중요한 까닭은 그 어떤 경영이론과 ... ...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EPS)의 효율을 높이는 연구 등이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정밀공학은 기계공학의
근간
을 이루는 분야다. 반도체나 TV 패널 제작 등 많은 분야에 쓰인다. 따라서 정밀공학을 전공하면 다양한 기업에 취직 할 수 있다.삼성전자처럼 반도체를 다루는 기업이나 두산인프라코어를 비롯해 공작기계(기계를 ... ...
화학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화학생물공학이 뭐죠?화학생물공학부는 이름처럼 화학·생물·공정을
근간
으로 공학을 연구하는 학부다. 공업화학, 화학공학 및 생명공학 분야를 공부한다. 전통적인 공정개발 및 설계, 공정 자동화, 유·무기재료(고분자·반도체 재료), 촉매 개발 등 원천기술을 배우고, 실용화 기술에 대한 지식을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중성미자를 쏜 CERN의 양성자 가속기 SPS.]지난 해 9월 발표돼 20세기 물리학의
근간
을 무너뜨릴까 관심을 모았던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뉴트리노)’ 연구 결과가 단순한 측정 오차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실험 내용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새로운 실험 결과까지 추가로 나와 미궁에 빠졌다.빛보다 ... ...
빅뱅 대 빅뱅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빛보다 0.002%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발견했다고 발표한 적이 있다. 현대 물리학의
근간
,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론의 기본 가정 ‘빛보다 빠른 물체는 없다’에 위배되는 발견이다. 만일 진실로 밝혀질 경우, 노벨상이 문제가 아니고 현대과학에 전반적인 대수술을 요구하게 된다. 연구자들이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여러 언론에서 이 발견으로 물리학의
근간
인 상대성이론이 깨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시간여행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감도 커졌다. 이 현장에 아인슈타인 박사가 타임머신을 타고 가봤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이 실험의 이름은 ‘오페라(OPERA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