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앞으로도 누군가는 꾸준히 초음속기를 연구하고 만들 겁니다.” *마하. 속도의 단위. 음속에 대한 운동 물체의 속도비로 나타낸다. 마하 1은 약 초속 340m다. 실제로는 고도에 따라음속이달라지기때문에,항상마하1이초속 340m인 것은 아니다. 본문에 소개된 기체의 속도는 기체를 개발한 기업의 소개 ... ...
- [논문탐독] 유전질환 스위치 OFF 후성유전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발병하며 대부분 소뇌가 위축돼 신경 퇴화, 기억력 및 운동능력 감소를 보입니다. 세포 단위의 연구에서 A-T 환자는 ATM 단백질이 매우 적었습니다. ATM 단백질은 DNA 이중가닥이 손상된 유전체의 복구 과정을 조절합니다. 뉴런에서 DNA 이중가닥이 손상되면, ATM 단백질은 시르투인원 단백질과 함께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000000000000066600000000000001 이 수의 특징이 눈에 보이는가? 첫 자릿수는 1, 그다음 0이 13개, 숫자 666, 다시 0이 13개, 마지막은 1로 끝나는 서른 한 자리 소수다. ... 규칙이 있다. 수학자들은 이런 특이한 성질을 가진 중심 십각 소수를 마치 진주 목걸이처럼 10개 단위로 묶어 그림으로 나타냈다 .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만드는 궁극의 단위라고 생각했다. 마찬가지로 소수는 다양한 수를 만드는 궁극의 단위로 여겨졌다. 과거 정수론은 실용적이지 않은 분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수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가 발달하면서 정수론을 이용해 여러 컴퓨터 기술을 만들 수 있다는 실용성이 입증돼 최근에는 활발하게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살펴보자. ❋저장 장치 종류에 따른 정보 밀도 비교 : 정보 저장 장치에서 ‘밀도’는 단위 부피 당 기록되는 비트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다양한 저장 방식이 발명되고 쓰였는데, 정보를 담는 이들의 밀도는 천차만별로 다르다. 장치 별 정보 밀도를 비교했다. doi: 10.1126/science.1226355 정보 ... ...
- 에너지 뿜뿜! 칼로리란?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해요. 어떤 음식인지에 따라 칼로리의 양은 달라요. 음식 속 칼로리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는 kcal(킬로칼로리)예요. 달콤한 음식에는 칼로리가 높은 설탕이 많이 들어가요. 그런데 설탕을 쓰지 않고 단맛을 내기도 하지요. ‘아스파탐’이라는 재료를 쓰면 설탕보다 200배 단맛을 낼 수 있어서 아주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있죠. 두 형태로 구를 쌓으면 구 하나가 12개의 다른 구와 접하게 됩니다. 이때 충진율(단위 부피에서 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74.0%로, 면심입방격자와 조밀육방격자가 다른 중요 결정 구조인 ‘단순입방구조(52.0%)’와 ‘체심입방구조(68.0%)’보다 더 빽빽하게 공간을 채울 수 있다는 게 알려져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어느 조직에 의해 합성됐는지 역추적하는 기술이다 보니, 감정 건들이 대부분 100g 이상 단위로 유통되는 대량 유통 건임에도 수치가 이렇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마약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들여오는 겁니다. 그러니 감정 분야에서도 국제공조가 필수적이죠. 마약지문의 경우, 각국의 ... ...
- [그래픽] 특명: 양자나노과학을 알려라!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상태를 볼 수 있다.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 ESR-STM의 각 부분을 직접 연구하고 있다. 구석구석 레고 대원을 따라가며 살펴보자 ... ...
- 생성AI 2024 트렌드3 - 멀티모달・초거대・맞춤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필요하기 때문이다. 파라미터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인 변수를 처리하기 위한 단위를 뜻한다. 김 그룹장은 “멀티모달 AI의 탄생은 (오픈AI나 구글과 같은) 빅테크 기업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라며 “2024년은 빅테크 기업이 만들어낸 멀티모달 AI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