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방
d라이브러리
"
씨방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ABC를 알면 꽃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인다. 그 안쪽의 수술은 꽃가루를 만들고, 맨 가운데 암술은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씨방
을 간직하고 있다.그런데 식물은 어떻게 이처럼 역할이 뚜렷한 네겹의 기관을 만들어 꽃이라는 멋진 작품을 탄생시켰을까. 식물학자들이 오래 전부터 품고 있던 이 궁금증은 유전학과 분자생물학의 도움으로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딸기열매와 초록색의 꼭지가 연출하는 뚜렷한 보색대비는 우리 눈을 즐겁게 한다.딸기는
씨방
이 부풀어 열매가 되는 다른 과실과 달리 꽃받침통이 자라 과육이 된다. 그 결과 씨앗이 과육 속이 아닌 밖에 촘촘히 박혀있다. 지금은 딸기가 흔하지만, 사실 딸기가 우리나라에 들어온지는 고작 ... ...
5. 화성 생명체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싹이 트는데 모든 조건(양분, 물 등)을 갖춘 매우 가벼운 종자들은 식물 몸체 위의
씨방
에 가득 들어있다. 이들은 여름이 되면 낮과밤의 기온차가 큰, 이른바 열팽창원리로 웅크렸던 주머니를 터뜨리는 동시에 종자를 퍼뜨린다. 가까이 뿌려진 종자는 뿌리를 내려 모체와 함께 같은 식물에 기생하며 ... ...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세포가 흥분한다. 이와 같이 암술머리에 화분이 붙는 것을 수분(受粉)이라 한다. 화분이
씨방
속의 알과 수정되면 종자가 생긴다. 식물의 생식기관이 동물과 다른 점은 암수의 생식기관이 같은 식물의 같은 장소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은행이나 뽕나무 같은 예외가 있다. 이들은 동물처럼 ... ...
식물, 왜 '근친혼' 싫어하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암술머리에 떨어져 발아하면 화분관이 형성되어 곧 길이생장을 하면서 암술대를 통해
씨방
에 도달하게 된다. 결국 화분관은 배낭으로 들어가며 화분관 내에 존재하고 있던 정세포는 난세포와 수정하여 접합자를 형성한다.유전적 불임성을 갖는 경우, 서로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갖는 개체에서 형성된 ... ...
옮겨 심으면 죽어 버리는 모데미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꽃잎처럼 보이는 흰부분은 꽃받침으로 모두 5개이며 꽃술 모양의 꽃잎도 5장이다. 수술과
씨방
이 많고 꽃이 지면 방사상으로 마치 훈장을 연상시키는 열매 끝에 길이 3㎜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이를 허가 없이 채취 또는 이식할 때는 관계 법령에 의해 엄벌에 처하게 돼 있다. 그러나 그보다 우리의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생성하여 꽃가루관 앞쪽의 조직을 분해시키면서 주공을 통해 배주에 침투한다.
씨방
으로 들어간 정세포는 난세포와 수정하여 접합자를 형성한다.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의 차이는 속씨식물이 중복수정을 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은 꽃가루 길이의 수만배까지 꽃가루관을 뻗어내려 짝을 찾는 긴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편모형태)가 바람에 날려 암나무에 붙게 되면 3개월이나 기다렸다가 암나무의
씨방
(노출돼있음) 안으로 들어가 수정된다는 것이다. 이때 결실되는 것이 식용으로도 쓰이는 은행알인 셈이다. 은행나무는 사람 가까이에서 자라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깊은 산속에서 은행나무를 보기는 힘들다. 만약 ... ...
이전
1
2
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