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국
USA
미국인
american
d라이브러리
"
아메리칸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생명게임’입니다. 미국 과학 저술가 마틴 가드너가 미국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 1970년 10월호 ‘수학 게임’ 꼭지에서 대중에게 소개하면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지요. 단순한 규칙 몇 가지로 복잡한 패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생명게임은 무한히 많은 사각형으로 ... ...
[Issue] 파리 vs 런던 집값 더 비싼 곳은?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교수 등은 1870년부터 2012년까지 14개 주요 나라의 실질 주택가격을 분석해 2017년 2월 ‘
아메리칸
이코노믹 리뷰’에 발표했다.doi:10.1257/aer.20150501 여기서 ‘실질’ 가격이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주택 가격을 의미한다. 크놀 교수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실질 부동산 가격은 1970년부터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거예요.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다가 떠오른 아이디어를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과 라디오 방송 ‘사이언스 프라이데이’에 보냈어요. 그랬더니 존 녹스 미국 조지아대학교 교수가 연락해왔죠. 그렇게 공동연구를 시작하고 논문도 낼 수 있었어요. 그렇다고 제가 수론에만 관심이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하는 걸요. 미국 샌디에이고에 살던 주부 마저리 라이스는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에서 흥미로운 문제를 발견했어요. 볼록오각형을 겹치지 않게 빈틈 없이 이어 붙여 평면을 다 덮는 ‘테셀레이션’에 관한 것이었죠. 당시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은 8개뿐이었어요. 처음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다보스포럼이나 CES에 선보이는 주제나 제품 및 서비스에는 주의를 기울여도 지난 1월 AMA(
아메리칸
뮤직어워드)에 등장한 BTS는 아이들이나 즐기는 아이돌 문화라고, 가벼운 연예 뉴스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면 밀레니얼세대를 앞에 둔 나 자신의 인식은 어디쯤에 이르러 있는지 한번쯤은 ... ...
[수학공작실] 플렉스칼레이도사이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대해 연구했다. 1956년에는 미국 과학 저술가 마틴 가드너가 대중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에 소개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졌다. 칼레이도사이클이란 사면체를 연결해 만든 종이장난감으로 무한히 뒤집어도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필자는 SNS를 활용해 수학체험자료를 수집하던 중 러시아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45년 결혼해 살고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고 나면 아이들이 즐겨보던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을 보며 시간을 보냈지요. 그러던 어느 날 가드너가 쓴 글을 읽고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에 흥미를 느꼈습니다. 몇 달간 혼자 연구한 끝에 새로운 무늬 4가지를 찾았지요. 라이스는 이 결과가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음식을 새로 줘 단골로 만드는 게 합리적인 이유다. 푸드트럭을 주제로 한 영화 ‘
아메리칸
셰프’의 실제 주인공인 로이 최가 취한 전략도 고객생애 가치와 관련이 있다. 로이 최는 SNS에 실시간으로 자신의 경로를 알려 단골 고객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단골 고객은 주기적으로 SNS를 보고 로이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다울링-윌슨 추측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수학자 에르되시 팔이 이 문제를 다시 발견하고 미국수학회에서 만든 잡지 ‘월간
아메리칸
매스매티컬’에 소개했지요. 이후 헝가리 수학자 걸러이 티보르가 딱 두 점만 지나는 직선이 반드시 있다는 것을 증명해 흔히 이 문제를 ‘실베스터-걸러이 정리’라고 부릅니다. 이를 통해 다음 정리도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갖고 있다. 아주 신중히 선택한다. 미국의 작가 베스 앤 페넬리가 잡지 ‘옥스포드
아메리칸
’ 2010년 봄호에 발표한 토식증에 관한 글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19세기 남미의 오토맥 부족은 입자가 고운 붉은 점토를 선호했고, 그걸 얻기 위해 아주 먼 거리를 걸을 정도였다. 역사가 힐다 헐츠가 194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