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국
USA
미국인
american
d라이브러리
"
아메리칸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벌은 컴퓨터보다 똑똑하게 이동경로 찾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거리의 합이 가장 짧은 경로를 찾아서 이동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내용은 과학저널인 ‘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 12월호에 게재됐습니다.연구팀은 인공적으로 만든 4개의 꽃다발로 벌의 이동경로를 관찰했습니다. 먼저 한 다발을 놓은 다음, 한다발씩 총 3개의 꽃다발을 추가하면서 이 순서를 따를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기생하는 ‘깃털 이’의 몸 색깔을 조사한 결과 깃털 색깔과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고 ‘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 10월호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조류 가운데 같은 과(科)에 속하면서 깃털이 하나는 밝고 하나는 어두운 26쌍을 골랐다.그 뒤 새의 몸에 기생하는 이를 채집해 이 가운데 같은 속(屬)에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뒤 그의 시신을 부검한 결과, 뇌가 산소부족으로 손상됐음을 확인했다. 레바논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 심리학과의 아르네 디에트리히교수는 “특히 전두엽이 손상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두엽은 대뇌의 앞부분에 있으며 기억과 사고 같은 고등 정신활동을 담당한다.좀비 묘약에 들어 있던 다른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데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학교 도서관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 1956년 12월호를 읽기 시작해, 마지막 칼럼까지 읽고 나서야 그가 얼마나 위대한 인물인지 알게 됐다. 매년 미국에서는 그의 글을 읽고 자란 사람들이 모여 G4G(Gathering for Gardner) 축제를 연다. 언젠가 이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와일랜드가 사우스다코다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한 이 동물 뼈의 화석은 1896년 발행된‘
아메리칸
사이언스 저널’ 4번째 판에 처음 소개됐다.예나 지금이나‘장수’의 상징으로 통하는 거북은 크기가 3m를 넘던 때가 있었다. 백악기인 1억 46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 살았던 아르켈론은 1976년 ... ...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봐요.마틴 가드너의 만우절 농담 마틴 가드너는 미국의 과학잡지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 1975년 4월호에 ‘4가지 색만으로 지도에서 서로 맞닿은 지역을 서로 다른색으로 칠할 수 있다’라는 일명 4색 문제는 틀린 말이라며 반례 지도를 소개했다. 이 글은 만우절을 맞아 쓴 것으로 마틴 가드너가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932년
아메리칸
리그 선수로는 처음으로 한 경기에서 홈런 4개를 몰아쳤으며 2년 뒤에는
아메리칸
리그의 타율, 홈런, 타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당대 최고의 야구선수였다.게다가 그는 2130경기에 연속 출장하는 기록(메이저리그 통산 2위)을 세울 정도로 건강해 ‘철마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 있는 기회는 곧 찾아왔다. 1994년 겨울 시카고에 착륙하기 위해 공중에서 대기하던
아메리칸
이글사 소속 프로펠러 여객기가 추락해 70여 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것.신 박사는 사고조사위원회의 일원으로 파견돼 항공기의 날개부분 결빙이 사고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일을 계기로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transporter’라는 용어를 쓴다.마틴 가드너(미국의 유명한 과학저술가)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에 ‘스타트렉’에 관해 쓴 글을 흥미롭게 읽었다.1993년 논문을 발표했을 때 순간이동이 황당한 생각이라는 비난을 받지는 않았나?전혀 아니다. 연구에 참여한 우리 6명은 확신을 갖고 있었다.노벨상 ... ...
근육이 내는 소리로 질병 진단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상태를 알 수 있고 나아가 건강 상태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미국의 과학잡지 ‘
아메리칸
사이언티스트’ 1·2월호에 발표했다.사브라 교수팀은 건강한 성인 남성의 넓적다리 피부에 소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16개를 1.3cm 간격으로 부착했다. 그 뒤 실험자의 무릎 위에 물체를 올려놓아 근육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