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망
정력
d라이브러리
"
야심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깎은 정이십면체 축구공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체육 시간에 축구 경기를 하는 날이다. 드디어 내 발 앞에 공이 왔고,
야심
차게 골대를 향해 슛!~을 날렸지만…. 안타깝게도 축구공은 골대 위를 훌쩍 넘어가 버린다. 둥그런 탓일까? 축구공은 저 멀리까지 떼굴떼굴 굴러간다. 그런데, 축구공이 겉보기에만 구라고?겉모습만 구인 축구공?학교 운동장,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마법사에겐 주변 나라에 대한 복수심이나 정치적인
야심
도 없었다.그녀는 그냥 게임을 하고 있는지도 몰랐다.가장 놀기 좋았던 곳이 왕국의 북쪽 변방이었는지도 모른다.시간을 얼리고 죽은 자들을 되살리고 날씨를 조종할 수 있다면 누구라도 그 능력을 쓰면서 ... ...
[교과연계수업] 게으름 극복하는 작심 66일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건강을 관리하기, 열심히 운동하기, 책을 읽기, 등 의욕 넘치게 계획을 세우지요. 그런데
야심
차게 세운 계획이 현실에서는 그리 잘 지켜지질 않습니다. 게으름 때문일 거예요.그럼 이런 게으름은 왜 좀처럼 잘 고쳐지질 않는 걸까요? 게으름의 원인을 과학으로 알아볼까요?게으름의 주범은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SAA)’이라고 부릅니다.반 앨런대를 최초로 발견한 이후 미국은
야심
차게 반 앨런대 전용 탐사 위성을 기획했습니다. 바로 크레스(CRRES) 위성입니다. 크레스 위성은 우주물리학자들의 부푼 꿈을 안고 1990년 7월 25일 우주 공간으로 나갔습니다. 3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지요. 그러나 안타깝게도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백 년간 단단히 버텨왔던 아베 한계를 무너뜨리겠다는 도전의식이 있었다.처음에 그의
야심
은 무모해보였다. 누구도 그의 꿈이 가능하다고 보지 않았다. 헬은 독일에 있는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 지원했지만 번번이 떨어지고, 결국 유럽의 변방이라고 할 수 있는 핀란드 투르크대에 어렵게 자리를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그리고 드디어 마블의 10번째 영화인 가 7월 말 개봉했다. 올해의
야심
작인 이 영화에서는 지금껏 지구를 무대로 한 마블 영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화려한 우주의 모습이 눈길을 끈다. 여기에 광대한 은하를 종횡무진 누비는 개성 넘치는 다섯 영웅들이 가세해 볼거리가 더욱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그에게
야심
이란 것이 없었다면 모르겠지만 알고 보면 로키는 참 불우한 남자다. 존경했던 아버지 는 친부가 아니었고 다음 왕은 피를 나눴다고 생각했 던 형이 이미 내정됐다. 유능한 둘째 왕자에서 악당으 로 변신한 로키는 내란에 실패한 뒤 우주를 방황하다 치타우리 족으로부터 ‘셉터’라는 ... ...
말 타 보셨나요?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명마가 이름을 날렸다. 토종말과 몽골, 중앙아시아 말을 교배시켜 만든 세종의
야심
작이다. 온통 검은 몸에 발과 이마에만 흰털이 있었던 오명마는 강인하고 지구력이 뛰어나 북방의 여진족을 몰아내고 4군, 6진을 개척하는 데도 기여했다. 하지만 오명마에 눈독을 들인 명나라에서 매년 1000마리 이상 ... ...
양자역학이 무거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흉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머리 아픈 일이 생겼다. 양자역학을 이해시켜 주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표방한 책이 거푸 번역돼 나왔다. 그것도 아예 제목에 ‘양자(퀀텀)’라는 말을 버젓이 쓸 만큼 노골적이다. ‘퀀텀 유니버스(승산)’와 ‘퀀텀 스토리(반니)’다. 위에 언급한 ‘직관과 어긋나는’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발발은 많은 이들이 곱씹어보는 사례가 됐다. 사실 이 전쟁은 어떤 호전적인 미치광이나
야심
가가 일으킨 게 아니다. 상당수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전쟁을 원한 것도 아니었다. 그러나 승전이 지상과제이며 한 발 밀리는 순간 우리는 끝장이라는 군사지휘관들의 논리가 거대한 파멸의 네트워크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