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망
정력
d라이브러리
"
야심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영향력을 휴대전화 기반 인터넷(모바일인터넷) 시장에서도 이어가려는 구글의
야심
작이다.이처럼 컴퓨터와 인터넷 업체인 애플과 구글이 거대 제조기업들의 격전장인 휴대전화 시장에 비집고 들어올 수 있다는 사실은 통신 시장의 경쟁패러다임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변하고 있음을 ... ...
디지털 캐릭터에 생명 불어넣는 CG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업체인 ‘소프트이마지’가 최근 얼굴 애니메이션을 자동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야심
작으로 내놓았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가격만 10만 달러(약 1억 원)다. 노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이 상용화되면 외국으로 새는 돈을 그만큼 줄일 수 있다.비주얼미디어랩의 왕성한 연구 성과는 노 교수의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칩’을 개발해 내구성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밝혔다.‘플라워 스피커’도 연구단의
야심
작 중 하나다. 말 그대로 꽃 모양의 스피커를 만들겠다는 것. 전기가 흐를 때 종이의 셀룰로오스가 떨리면서 스피커 역할을 한다. 연구단의 실험 결과 종이 스피커는 5~10V 정도의 작은 전압으로도 소리를 낼 수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km 정도의 지구저궤도에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정부가 2026년까지의 청사진으로
야심
차게 제시한 ‘우주개발사업 세부실천 로드맵’에서 눈에 띄는 항목은 2020년 달 탐사위성을 개발해 발사한다는 내용이다. 2007년 하반기 일본과 중국이 잇달아 탐사선을 달에 보냈고 인도도 2008년 4월에 달 ... ...
이탈리아 피자 연구가 '피자마자 다 팔리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먹을 수 있게 크게 만들었죠. 특이한 것은 착시 현상을 이용해서 만들었다는 거죠. 제
야심
작이랍니다.”만약 24명이 한꺼번에 먹어야 한다면 어떻게 나눠야 할까? 살아 있는 피자를 감상하면서 어떻게 나눠야 할지 생각해 보자. mission 4 세계시각 피자마지막 피자는 가운데에 시계가 달려 있는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비행 장치는 결코 추락할 염려가 없다. 다만 떠오르지 못했을 뿐이다.예술가의
야심
이 과학의 발걸음을 지나치게 앞질렀던 탓이었을까? 만약 레오나르도가 400년만 더 기다렸더라면 과학의 진보가 비행의 꿈을 실현하는 것을 감격스레 목격할 수 있었을 것이다.태양신의 황금수레가 여명과 황혼을 ... ...
패션70s VS 패션00s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크기까지 축소시켜 원단에 좀더 잘 스며들게 하는 ‘나노잉크’가 바로 현재 개발 중인
야심
작.국내 패션업계와 의상 관련 학과에는 디지털 염색기법이 이미 상당히 ‘전파’돼 있다. 잘 알려진 패션 브랜드 ‘쌈지’의 ‘딸기’ 디자인에도 이 기법이 사용됐다. 패션업체 ‘한성’의 컬러리스트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과학 지식으로 멋진 공을 만들어 누리와 함께 악당들을 눌러 버리자고! 과연 미스터 X의
야심
을 막을 주인공들은 누굴까? 한누리를 도와 줄 세 번째 과학해결사들은 고원초등학교 친구들이 맡아 주었어. 이번에는 여학생들도 많이 참가했네. 한누리의 논리적인 생각과 귀여운 외모가 여학생들에게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사이언스트럭의 ‘트럭 3총사’ 가 그 주인공. 트럭들은 슈투트가르트공대가 준비한
야심
작이었다. 14m 길이의 트럭 내부에 컴퓨터, 미니 시청각실, 위성과 연결된 인터넷 등을 갖춰 움직이는 전시관을 구현했다.트럭 안내도 해당 분야의 박사급 연구원들이 맡았다. 나노트럭 설명을 담당한 안드레아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본인에게 알맞은 수면시간이다. 짧은 시간 자는 사람들은 정력적이고, 외향적이고
야심
적인 사람이 많다고 한다. 에디슨, 나폴레옹, 대처가 여기에 속한다. 반대로 9시간 이상씩 자야하는 장시간 수면자도 있다. 하루 10시간 이상씩 자야했다는 아인슈타인을 보면 잠을 오래 잔다고 해서 무능하다고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