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통해 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전파 양상을 예측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수리과학
연구소
와 대한수학회 주도로 ‘코로나19 수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가 만들어졌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WHO도 각각 ‘COVID-19 Surge’와 ‘CovidSIM’을 운영하며,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수학 모형을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무선으로 전송되면 해킹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욱 커지므로 BCI를 개발하는 기업이나
연구소
는 뇌 신호의 보안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또한 뇌 신경회로를 조절하는 BCI 기술이 남용되거나 오용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원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전자 마약 등 위험한 목적으로 사용된다면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생쥐들이 든 플라스틱 통을 박스에 넣고 포장했다.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이면 다른
연구소
혹은 대기업 사무보조로 스카웃 제의가 올지도 몰랐다. 존 윅처럼 볼펜으로 대충 숨구멍을 뚫고는 박스를 문밖에 내놓았다. 생쥐들은 위험을 감지했는지 살기 위해 필사적으로 플라스틱 벽을 긁어댔다.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돼지, 고양이, 개 등 20종이 넘는 복제 동물이 태어났어요. 2018년, 중국과학원 신경과학
연구소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원숭이 두 마리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람이 속한 영장류를 복제한 건 처음이었죠. 연구팀은 “복제 원숭이가 파킨슨병 같은 인간의 뇌 질환을 연구하는 데 사람을 대신해 ... ...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씹을수록 풍선껌의 색이 바뀌는 ‘컬러체인징 왓따’를 지난해 8월 공개했어요. 롯데중앙
연구소
우상민 연구원은 “산도(pH)●에 따라 색이 발현되는 두 가지 색소를 넣어 만들었다”고 설명했어요. 산성을 띠는 껌은 중성인 침과 섞이면 침을 따라 중성이 돼요. 이때 중성에서 색상이 발현되는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전조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9년 미국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직접 만든 2차원 수치예보 모형에 지진이 일어난 상황을 시뮬레이션해서 지진의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진 파열이 발생하기 전에 고유한 음향 신호가 나타났다. 이 음향 신호는 단층 사이에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직접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는 빅뱅의 축소 모형과 같습니다. 유럽입자핵물리
연구소
(CERN)가 거대강입자충돌기(LHC)로 진행하는 앨리스(ALICE) 실험의 목표는 이 작은 빅뱅에서 어떻게 다양한 입자가 생성되고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함으로써, 우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죠. LHC는 지하 100m에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외판원 문제를 실제 여행할 도시를 대입해 연구한 첫 번째 사례는 1954년 미국 랜드
연구소
소속 수학자 3명이 미국의 49개 도시를 여행하는 최단 경로를 계산한 것이었다. 방문할 도시 수가 10개만 돼도 9!(약 30만) 가지가 넘는 왕복 경로가 있고, 도시가 15개면 8700억 가지가 넘어 계산하기가 쉽지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집게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집으로 메고 다닐까. 폴란드 바르샤바대 생물학부 진화생물학
연구소
의 주잔나 야기에워 연구원팀은 육지 집게의 약 3분의 2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쓰레기를 집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오브 더 토탈 인바이런먼트’ 2월호에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아직까지도 태양 흑점을 구현한 가장 방대한 3차원 모델로 꼽힌다. 위 이미지는 국립대기
연구소
의 흑점 시뮬레이션이 공개되기 약 130여 년 전인 188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에티엔 트루블로가 그린 태양 흑점이다. 쌍을 이루어 상호작용하는 흑점의 모습이 아주 세밀히 나타나 있다. 책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