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공하고 미국 럿거스대에서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카네기멜론대, 벨 연구소,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를 거쳐 연세대 수학과 교수로 임용된 후, 2013년부터는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연구 분야는 조합론과 계산수학이며, 램지의 정리에서 R(3,t) 값의 크기 함수를 구해 199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발표됐습니다. doi: 10.1101/2023.12.27.573442 신야 시키나 대만국립해양대 해양환경 및 생태학연구소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2011년 2월, 대만 난완만의 해머산호 군락지를 조사하다 깜짝 놀랄 만한 현상을 목격했습니다. 11개군락 중 9개 군락의 산호들이 1년 사이 성별을 바꿨던 겁니다. 산호가 성별을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71배인 천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결과를 두고 맨체스터대와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등이 함께한 국제공동연구팀은 혼란에 빠졌다. 이런 질량을 가진 밀집성은 존재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5배 이상, 중성자별의 질량은 2.2배 이하이다. ... ...
- [가상인터뷰] 인간과 유전체 93% 일치 붉은털원숭이 복제 성공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년 넘게 생존시킨 연구가 화제다.1월 16일, 루 팔롱 중국과학원 유전학발생생물학 연구소 연구원이 이끈 공동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가상인터뷰로 재구성했다. doi: 10.1038/s41467-023-43985-7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저는 2020년 7월 16일에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확인했다. 이 우주선의 에너지는 2.44×1020eV에 달했다. 세계 최대의 가속기,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로 양성자를 가속해 만들 수 있는 에너지보다 4000만 배 강한 수준이다.” TA 콜라보레이션이 2023년 11월 발표한 논문의 한 대목이다. 연구팀은 2021년 5월 27일 발견된 ...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입니다. 식품 속 발암물질은 세계보건기구(WHO) 소속 국제암연구소(IARC)가 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 발암 위험도와 입증 여부에 따라 1군부터 4군까지 나눠지지요. 놀라운 사실은 이 중 우리가 발암물질이라 당당히 부를 수 있는 건 오로지 1군뿐이라는 겁니다. ... ...
- 수학적 사고력이 쑥쑥! 두뇌퍼즐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논리력을 키우는 스도쿠와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사고력 퍼즐,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간 퍼즐까지! 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고품격 퍼즐을 지금 바로 풀어보세요.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제외한 5개 연구팀이 예미랩에서 연구 중이다. 미세 중력파 연구를 하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지진파를 관측하는 기상청, 무중력 상태에서 약물에 대한 효과를 연구하는 스타트업 등이다. 소 책임기술원은 “지하실험실의 장점을 연구에 잘 활용하려는 연구단체가 여럿 들어와 있다”고 설명했다 ... ...
- [특집] 용왕님이 한 턱 쏜다! 해양문화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엣헴! 나는 바다의 수호신 용왕일세.내가 사는 용궁은 다름 아닌 수백 년 전 침몰한 난파선. 호화로운 보물로 가득한 곳이지. 인간 세상에 2024년청룡의 해가 밝았다는 소식을 듣고 오랜만에 용궁 밖을 나섰더니 토끼와 거북이 서 있었어. 난파선을 되찾으러 왔다더군!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개막 첫날 기후 손실과 피해 기금 공식 출범에 성공했습니다. 이준이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교수는 “COP27의 원론적 합의 속에서도 진통이 있었기 때문에 생각보다 빠르게 합의된 것에 놀랐다”며 “전 세계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피해에 공감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