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흉내"(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AI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딥러닝이 이렇게 오랜 역사를 지닌 기술인 줄 몰랐지? 이번에는 만화에서 소개한 딥러닝의 발전에 나왔던 개념 중 중요한 개념 3가지를 설명해줄게! 딥러닝 키워드1 퍼셉트론인간은 막 태어났을 때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지만, 학습을 통해 점차 많은 것을 알아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Part1.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Bridge.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 도움김하영(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강명주(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휘한다.하지만 현실의,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AI는 인간의 특정한 능력을 ‘흉내’낼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수지능일 뿐이다. 이는 생각보다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선 최근 논란이 된 ‘이루다’와 같은 AI가 아무리 성차별적 발언을 한다고 해도, AI는 상식적 의미에서 성차별적 의도나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모든 것을 박살내며 뛰어 들어가서 칼리토포스는 고양이가 상자에 들어간 모습을 흉내 내며 몸을 밀어 넣었다.우리우리스족에게 그 상황은 재난이었다. 많은 관객들이 덮쳐 오는 칼리토포스를 피해 도망쳤고, 무너지는 구조물을 피하기 위해 몸을 날렸다. 결국 관객석에서 소름 끼치는 포효를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로봇 축구를 본 뒤부터일까. ‘과학상자’라는 장난감으로 어설프게 엔지니어 흉내를 내보기도 하고, 아카데미 사가 출시한 4석 라디오 키트를 수도 없이 뜯고 조립했다(대학원 시절 지도교수가 감탄한 납땜 실력은 이때 완성된 것이다!).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물리와 수학을 깊게 공부하게 되면서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검사할 수 있다는 사이트가 줄줄이 뜰 정도다. 그런데 이 모든 사이트가 MBTI를 흉내 낸 가짜라고. 그래서 ‘진짜 MBTI’ 검사가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과학적으로 살펴봤다. ‘일을 몰아서 한다’ vs. ‘일을 계획에 따라 한다’ ‘모임에서 말을 많이 한다’ vs. ‘남의 이야기를 주로 듣는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문제를 많이 풀면 수학 실력이 좋아질까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의도까지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겠죠. 어쩌면 우리는 컴퓨터처럼 기계적으로 문제 푸는 흉내를 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스스로 풀이를 고안해 뇌에 길 만들기한 문제를 풀더라도 오로지 내 힘으로 풀어봐야 합니다. 개념을 공부했다면 다른 사람이 문제를 푸는 방식을 관찰하기 전에 먼저 ... ...
-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내포돼 있다. 카피추의 개그는 패러디에 가깝다. 패러디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원작을 흉내 내거나 과장해 웃음을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남주한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해당 유튜버는 원곡을 미리 인지하고 의도적으로 패러디하는 방식으로 노래를 만든 것 같다”는 의견을 밝혔다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이 알고리듬은 앞서간 개미들이 남긴 페로몬 농도가 높을수록 가장 빠른 길이라는 것을 흉내 낸 알고리듬이에요. 나와 비슷한 신체 정보를 가진 사람들을 개미로, 그들이 한 운동을 여러 개의 길로 생각해보세요. 그 사람들이 선호하는 운동일수록 페로몬 농도가 높겠죠? 결국 나와 비슷한 신체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3D 프린팅으로 출력해 벌새의 생김새를 본뜬 로봇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벌새의 비행법을 흉내 내는 인공지능을 로봇에 적용했지요. 이 인공지능은 벌새의 날갯짓 횟수, 비행 궤적, 자세 등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해 벌새의 비행법을 학습시킨 결과랍니다. 실제 벌새처럼 180° 회전하며, 잠시 동안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