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26일 밝혔다. 고체전해질이 전고체전지에 활용되려면 입자 크기가 머리카락
굵기
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1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수준으로 매우 작아야 한다. 기존에는 소량의 고체전해질 분말 등을 무극성 용매와 함께 용기에 넣고 고속으로 장시간 회전시켜 입도를 작게 만드는 ... ...
커피 찌꺼기로 반도체 폐수 깨끗하게
동아사이언스
l
2022.12.04
기술을 이용해 필터로 만들었다. 전기방사는 용액에 고전압을 걸어 수백 나노미터
굵기
의 실을 방사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매우 촘촘한 형태의 필터”라며 “이 기술은 커피 찌꺼기 수거 후 세척이나 불순물 제거 같은 별도의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필터로 반도체 폐수 속 ... ...
역사가 담긴 글꼴…기술과 함께 서체도 발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동물의 깃털처럼 뾰족하고 납작한 도구를 사용했다면 동양에서는 붓을 이용해 다양한
굵기
와 곡선을 표현했다. 조선 중기 궁녀들이 쓰던 글꼴이었던 궁서체는 한글을 유연하고 빠르게 쓰는 데 제격이었다. 박윤정 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붓의 부드러운 질감과 먹의 농담이 더해져 ... ...
[주말N수학] 3D애니메이션으로 수학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08.20
반지름이 1이라면 놀랍게도 삼각함수 y = sin x 그래프와 일치합니다! 소시지의
굵기
나 잘린 각도가 달라도 삼각함수로 나타낼 수 있어요. 반지름이 r이라면 y=sin x 그래프와 같고, 자르는 각도가 45도가 아닌 알파라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답니다. 원기둥 = 원뿔 + 반구 수학 에뛰드 ... ...
[프리미엄 리포트]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0.05㎜로 그린 꽃과 새
2022.08.13
0.04㎜ 두께로 얇게 펴서 제작된 것이었다. 사람의 머리카락보다 더 가는 0.05㎜ 이하
굵기
의 선으로 새겼으며, 선의 간격도 0.1㎜가 채 되지 않는다. 심지어 1㎝크기도 안 되는 두 마리의 새는 멧비둘기의 암수를 구분할 정도로 세밀하게 표현됐다. 통일신라인들은 이렇게 뛰어난 세공 기술을 불과 3㎝ ... ...
[기고]지금은 '유리의 시대' 혁신은 계속 된다
2022.04.28
쓰던 구리선으로 한 가닥의 광섬유와 동일한 양의 정보를 전송하려면 필요한 전선의
굵기
만 1.8m에 이른다. TV와 모니터, 노트북 등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도 유리로 되어 있다. 기판유리로 불리는 이 유리 제품은 액정에 신호를 전달하는 박막회로를 그리는 원판과 다양한 컬러가 ... ...
나노미터 크기 백신 실험실·감염병 조기 알아내는 AI 경보기…다음 팬데믹을 준비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8
감염병 사태 최우선 대책은 '빠른 백신 개발 기술 확보'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에 불과한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크기의 공간을 4만개 만들었다. 이 공간에 백신 후보물질들을 각각 넣고 동시에 효능을 분석했다. ‘DNA 나노기술’로 불리는 이 기술은 초미세 공간에서 ... ...
[인터뷰]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
과학동아
l
2022.03.26
개발했다. 반도체 속 빛의 경로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광반도체에는 머리카락
굵기
의 약 200분의 1 정도로 가는 광섬유 가닥이 깔려 있다. 멤스 기술을 이용하면 이 광섬유를 반도체에 구현해 빛이 흐르는 길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자석들에 대응되는 광회로를 초소형으로 ... ...
10만년전 조상부터 현생 인류까지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족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따라 추론한 인류 가계도를 시각화했다. 각각의 선은 부모와 자손 간의 관계를, 선의
굵기
는 이런 관계를 관찰한 횟수를 나타낸다. 선의 색깔에 따라 관계를 관찰한 연도도 나눴다. 영국 옥스퍼드대 제공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유전체 족보가 나왔다. 지금까지 개별 데이터로 축적된 약 10만년 전 ... ...
[랩큐멘터리] 광소자 소형화·집적화로 양자통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연구팀은 우선 나노 공정작업을 통해 빛이 이동하는 길인 광도파로를 머리카락
굵기
100분의 1보다 얇게 만든 실리콘 칩을 개발했다. 이후 빛이 물질을 변형시키는 힘인 광력을 이용해 두 개의 광도파로에서 만든 음파가 세 번째 광도파로에 도달하는 시간을 조절했다. 이를 통해 실리콘 칩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