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변조 막을 새로운 색변환 잉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기름과 물이 분리되는 성질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
수준의 두께로 여러 층이 반복되는 액정입자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폐나 신분증에 빛을 여러 각도로 비춰보면 숨겨진 무늬가 드러난다. 위조나 변조를 막기 위해 특수 소재를 ... ...
코로나19 바이러스, 미끼로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발표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가 폐세포에 달라붙는다는 점을 이용하기 위해 머리카락
굵기
의 1000분의 1 크기인 생분해성 고분자 입자 위에 폐 상피세포막을 씌웠다.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달라붙는 것처럼 붙을 수 있는 일종의 미끼인 셈이다. 세포에 코로나19를 감염시키는 실험에서 1ml당 5mg의 ... ...
코로나19 감시부터 몸속 의료장비 전력공급까지..."붙이면 끝" 패치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측정해 무선으로 전송해 스트레스를 받는지 알려준다.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굵기
의 얇은 은실인 ‘나노와이어’로 잘 휘면서 투명한 전극과 안테나를 만들어 소프트렌즈처럼 부드럽고 사람 몸에 해가 없다. 박 연구위원은 “일상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 ...
태양계 무게중심 100m 이내로 오차 줄여 블랙홀 연구 도약
연합뉴스
l
2020.07.06
100m이내 오차로 제시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태양을 축구장 크기로 봤을 때 머리카락
굵기
밖에 안 되는 오차로 무게중심을 잡아냈다는 것이다. 미국 밴더빌트대학과 과학전문 매체 '사이언스얼러트'(ScienceAlert) 등에 따르면 제트추진연구소(JPL) 천문학자 미셸 발리스네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 ...
치아 법랑질의 '원자 세계', 처음 비경(秘境)을 드러내다
연합뉴스
l
2020.07.02
구성을 알아내는 첨단 기기다. 관찰 결과, 치아 법랑질은 인간 머리카락의 1천분의 1
굵기
에 불과한 장방형 결정으로 구성됐다. 촘촘한 다발 같은 이 결정의 주성분은 칼슘과 하이드록실 아파타이트((hydroxylapatite)였다. 하이드록실 아파타이트((hydroxylapatite)는 인(phosphate)을 기반으로 하는 ... ...
손 안 대고 기체로 반도체 한꺼번에 조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조립한 뒤, 다시 대량의 칩을 일괄로 전기 접속하는 공정을 완성했다. 그 결과 머리카락
굵기
보다 얇은 0.02mm 두께의 휘어지는 반도체칩을 손상 없이 기판에 배열하고 이를 0.002mm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쌓을 수 있는 장비를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열에 의한 변형이 적고 시간당 ... ...
김치 매운맛 성분, 1분 안에 분석한다
연합뉴스
l
2020.05.27
하지형 박사팀과 경희대 강성호 교수 연구팀이 공동 개발한 분석법은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
보다 더 가는 모세관 안에 계면활성제를 채운 뒤 전기장과 레이저를 이용해 시료의 다양한 성분 중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 캡사이신만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기술이다. 전압 프로그래밍 기반 '마이셀 ... ...
성균관대-삼성전자, 마이크로LED 집적도 20배 높일 접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기판에도 사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실제로 이 기술로 저온 저압 환경에서 머리카락
굵기
보다 작은 30~60 μm 크기의 마이크로LED 수천 개를 휘어지는 기판 위에 배치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신용카드보다 작은 가로세로 5cm 크기의 기판에 100 μm 간격으로 60만 개의 마이크로LED를 배열할 수 있는 ... ...
배송 식품 변질 가능성 쉽게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상온 노출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수백 나노미터(10억 분의 1m)
굵기
의 고분자 나노섬유를 마치 옷을 짓듯 교차로 겹치는 방법으로 얇고 불투명한 필름으로 가공했다 그 뒤, 뒷면에 글자가 새겨진 일반 필름에 붙였다. 상온(20℃) 노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콜드체인 안심 ... ...
"한 시간에 균 99.9% 제거" 항균 효력 높인 은나노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한 시간 접촉시킨 뒤에는 균의 99.9%까지 제거가 가능했다. 연구팀은 전자빔의 에너지와
굵기
, 밀도 등을 변화시키면 다양한 나노 및 바이오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김창수 선임연구원은 “기존보다 간단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나노소재의 항균 능력을 극대화했다”며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