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께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굵기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얽힌 새로운 소형 광원구조가 나왔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
보다 100배 가느다란 육각연필 형태의 구조 내에 다색·다편광 특성을 갖는 양자선 수직배열 광원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여러 색깔과 편광을 동시에 상호 제어하는 고효율 소형 광원은 하나의 ... ...
‘깁스’를 한 햄스터
팝뉴스
l
2019.11.26
환호한다. 사진 속 동물은 햄스터다. 아직 어려서 몸이 아주 작다. 사람 손가락
굵기
정도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 햄스터의 앞다리에 고정 붕대가 감겨 있다. 햄스터의 눈빛도 재미있다. 똘망똘망한 눈빛에서는 당황한 기분이 역력하다. 해외 네티즌들은 어떻게 해서 다쳤는지 궁금해하는 ... ...
"휘고 구기고 빨아도 오케이" 투명 전자소자 대량 생산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투명하면서 잘 휘고 잘 늘어나게 만드는 대표적인 방법은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굵기
의 선을 쓰거나, 이들 선을 그물 모양으로 엮어 필름에 ‘인쇄’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만든 투명전극 패턴 필름을 만들 때 한꺼번에 넓은 영역을 인쇄(패터닝)할 수 있다면 제작 속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 ...
빛-물질 성질 가진 입자, 상온서 조절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송현규 연구원팀이 머리카락
굵기
의 100분의 1 수준으로 가는 육각기둥 구조 반도체를 이용해 극저온에서만 만들 수 있던 입자인 ‘엑시톤-폴라리톤’을 응축하고 운동량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반도체나 절연체 속에는 ... ...
삼성도 반했다, 계산 속도 빠르고 소비전력 낮은 ‘다진법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발견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솔리톤은 인듐 원자를 한 줄로 배열한 10억분의 1m
굵기
의 긴 끈 모양 물질 두 개가 만나는 경계 지점이다. 이 안에 전자 하나가 갇히는데, 이 전자의 상태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한다. 솔리톤은 끈이 꼬인 방향에 따라 3종류가 있어서 솔리톤 1, 2, 3과 아무것도 ... ...
노벨물리학상 받은 '위상물질' 특성 밝혔다...양자컴퓨터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공진 주파수를 이용했다. 나노역학소자는 비스무스셀레나이드 화합물로 만든 나노미터
굵기
의 선(나노선)을 양쪽에서 붙잡아 띄운 형태다. 마치 기타줄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기타 줄을 튕기면 공진하듯 나노선도 공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공진을 통해 물질의 위상상태를 ... ...
한국 빛낸 산업기술에 접는 디스플레이·200년 버티는 콘크리트 등 15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읽기와 쓰기 성능 면에서 기존보다 25~30% 향상됐고 원가는 20% 이상 절감했다. 3mm
굵기
의 철사를 사이에 놓고 접을 수 있는 수준인 세계에서 가장 잘 접히는 삼성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기술과 최초 상용화한 삼성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등 ICT 기술이 고루 선정됐다. 극자외선(EUV) 공정을 최초로 ... ...
손톱만한 뇌, 손바닥 크기로 부풀려 초미세 세포구조 정밀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적용하기 전(작은 사진)과 후의 사진이다. 세포 속 미세섬유의 화질이 개선됐다. 수십nm
굵기
의 미세섬유가 한 가닥 한 가닥 세밀하게 보인다.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제공 한국은 조직 팽창 기술에 앞선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이 기술은 원래 광유전학 등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꾼 기술 개발을 선도해 ... ...
"미래엔 질환 맞춤형 나노입자가 암치료 효과 높일 것" IBS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토론토대 교수는 나노 입자를 의학 분야에 응용하기 위해 연구하는 화학자다. 머리카락
굵기
의 100만 분의 1 수준인 수십 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몸에 주입한 뒤 혈관 등을 통해 원하는 부위에 보내는 연구를 한다. 자기장을 이용해 외부에서 통제하면 원하는 지점의 세포 안으로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서형준 삼성전자 마스터·이기철 익선사업 공장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통해 한국 소재 산업 성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초극세사 흡음재는 머리카락
굵기
의 100분의 1인 1㎛(마이크로미터)급에 해당하는 섬유를 이용해 고주파 소음을 저감하는 신소재다. 이 공장장은 미국 기업의 특허를 회피하고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설비의 설계 및 다양한 현장적용을 통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