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김은준"(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폐 등 발달장애인 복지, 과학기술계가 앞장서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토론회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8.02.23
-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박수빈 국립정신건강센터 연구기획과장이 현장 사례를 발표하고,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염한웅 자문회의 부의장은 “사회적 약자 중 어린 연령대 위주인 발달 장애인을 위한 적극적인 R&D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문제의식에서 ... ...
- “뇌-컴퓨터 접속(BMI) 응용한 로봇의수, 5년 내 상용화될 것”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온 400여 명의 청소년과 성인이 강연을 들었다. 올해는 슈워츠 교수 외에 뇌질환 전문가인 김은준 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과 치매 전문가인 최영식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장이 강연을 했다. ... ...
- IBS, 9개 연구단 대상 첫 연구성과 평가 착수동아사이언스 l2017.07.02
- 벤치마킹 했다. 연구단 단장(특훈교수) 연구실 분야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KAIST 생명 RNA 연구단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IBS 본원 및 KAIST 생명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유룡 KAIST 화학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노태원 서울대학교 화학 복잡계 자기조립 ... ...
- ‘3차원 그래핀’부터 원자 한 개로 이어진 초미세 전선까지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0조 W)의 초강력 레이저 설비. 이 보고서에는 비전문가가 봐도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많다. 김은준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 연구팀은 뇌 속 100조 개 시냅스의 조절 원리를 밝혀 정신작용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허원도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살아있는 생물 조직의 ... ...
- 자폐증 환자가 사회성 떨어지는 이유 찾아내2015.01.27
- 행동, 불안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뇌발달 장애로, 전 세계 약 1억 명 정도가 앓고 있다.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 뇌질환연구단장(KAIST 생명과학과 교수·사진)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폐증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IRSp53’가 없는 쥐는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 김은준 교수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2015.01.05
- 2014년 ‘올해의 KAIST인 상’에 김은준 생명과학과 석좌교수(51)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올해의 KAIST인 상은 한 해 동안 KAIST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교육과 연구 실적이 탁월한 인물을 우대하기 위해 마련된 상으로 2001년 제정돼 이번에 14회째를 맞았다. 김 교수는 1995년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 ...
- 뱃속 태아 뇌 성장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4.04.03
- 태아 상태에서도 조기에 자폐아를 진단할 수 있는 것. 기초과학연구원(IBS) 김은준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은 “이번 성과는 뇌 발달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고, 기존 동물의 뇌 지도와 비교해 인간의 뇌가 어떻게 다른지 이해하는 데도 도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를 진행한 ... ...
- “기초연구가 돈만 먹는 하마? 성과도 있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3.12.01
- 유룡, 장석복, 현택환 단장이 연구과제와 성과를 발표했으며 ‘뇌과학’ 분야도 신희섭, 김은준 단장이 참가했다. 우주와 입자에 대한 이해 세션에선 김선기(가속기구축사업단), 남창희, 김영덕 단장이 발표했으며, ‘물리와 재료’ 분야에선 이영희, 염한웅, 노태원 단장 등이 참가했다. ... ...
- 100인 100색 자폐증,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동아사이언스 l2013.05.13
- 하지만 자폐증 아이에게 개발하고 있는 신약을 투여한다고 병이 치료될까. 김은준 교수는 “약이 제대로 효과를 보일 확률은 1%도 안 될 것”이라고 말한다. 앞서 말했듯 자폐증에는 수백 개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관여하기 때문이다. 똑같은 수용체 문제로 일어난 자폐증이라도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