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인기검색어
창의적인
전기
실험
로봇
동물
수학
세트
스페셜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의
김은준
연구단장과도 공동연구를 진행중이다. 정 부연구단장은 신경회로의 변화가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는 시스템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자다. 분자가 변할 때 시냅스, 신경회로, 행동이 차례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보다 나은 치료방법은 없을까.자폐증의 원인부터 알아보자.
김은준
교수는 “자폐증 환자의 90%는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나머지 10%는 환경적 요인 때문에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환경적 요인이란 태아의 뇌가 발달할 시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위험요소를 ... ...
ADHD는 유전자 이상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여러 가지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뇌 발달 장애랍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강창원 교수팀은 ADHD를 앓는 어린이 200명과 정상 어린이 200명의 뇌 신경세포의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ADHD 어린이와 정상 어린이는 뇌 속 신경세포의 유전자가 조금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 ... ...
국내 연구팀이 ADHD 유전적 원인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유전적 요인이 규명됐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 강창원 교수팀은 ADHD가 뇌의 신경 시냅스 단백질(GIT1) 부족 때문이라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의약학계 학술지인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18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행동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신경세포 연결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가 이끄는 시냅스 생성 연구단은 신경세포를 연결해 시냅스를 만드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시냅스 뼈대를 형성하는 단백질을 연구한다. 시냅스는 서로 다른 신경세포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간단히 제소개
포스팅
l
20200603
피해를 드려 너무 죄송합니다.. 그리고 제 이름등에 대해 여쭈어보시는분들일단 제 실명은
김은준
입니다. 04년생 그러니까 이제 고1이고요. 어차피 여기에
김은준
이라고 쳐도 안나옵니다 그때 아빠이름으로 들어왔어서 그럼 .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