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상
정점
절정
천정
천정점
최고부
수석
뉴스
"
꼭대기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5000개 눈으로 본 우주 암흑에너지 영상...국내 천체투영관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DESI 프로젝트 참여 연구자들은 미국 애리조나 주 키트피크산
꼭대기
에 위치한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으로 구성된 망원경을 사용한다. 이 망원경으로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관측해 암흑에너지를 연구한다. 영상은 이 연구과정을 담고 있다. 반구형 ... ...
VR게임 하는 생쥐 뇌로 장기 기억 형성 비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1
연구결과를 3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시상은 뇌 중앙에서
꼭대기
에 있는 부위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다시 정보를 처리하는 각 부위로 전달하는 곳이다. 금방 잊혀지는 기억과 오랫동안 남는 기억이 뇌에서 어떻게 선별되고 저장되는지는 학계의 오랜 관심사였다 ... ...
절벽 끝인가? 강가인가? 해외 네티즌 갑론을박
팝뉴스
l
2022.10.14
제기를 한다. 사진은 산
꼭대기
가 아니라 강물 가에서 촬영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산
꼭대기
와 강가 중 어느 것이 사진 촬영 장소일까. 해외 네티즌 중에는 알쏭달쏭하다는 반응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강원 정선 지하 1000m에서 우주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꼽혔다. 중성미자이나 암흑물질 관측에 방해가 되는 지하수가 적게 나왔고, 예미산
꼭대기
가 평탄해 지표면으로 인한 방해 요소도 적었다. 박 기술원은 “땅을 파내며 예미랩을 만들 때 사고가 1건도 없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예미랩을 안내하고 있는 박강순 기초과학연구원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발사체 지상고정장치(VHD)에 화염 방지 커버를 씌우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산
꼭대기
발사장에서 만난 강선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발사대팀장이 설명했다. 네 명의 엔지니어가 발사대 아래 하얀색 구조물에 빨간 방호 커버를 씌우고 있었다. 새로운 발사체를 쏘아 올린다는 것은 그에 ... ...
지구온난화에 등산객 몰리면서 위험해진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200~400m 아래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6.19
평가하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스콧 왓슨 연구원은 “얼음절벽이 녹을 때 얼음절벽
꼭대기
에 있던 바위와 암석의 잔해물이 떨어진 곳이 녹으면서 물이 고인다”며 “그 결과 빙하 표면의 암석이 떨어지고 녹은 물의 움직임이 증가하는 확인했다"고 말했다 등산가들과 네팔 당국은 베이스캠프 중앙에 ... ...
알프스산맥 2천800m 고지대서 발굴된 20m 거대 어룡 화석
연합뉴스
l
2022.04.28
분석돼 있지만 화석이 많지 않아 미스터리가 돼왔다. 이런 드문 화석이 알프스산맥 산
꼭대기
에서 발굴된 것이다. 산데르 박사는 약 30년 전 취리히대학의 동료 하인츠 푸러와 함께 2억 년 전 형성된 지층인 쾨센층의 지질지도를 만드는 과정에서 이 화석을 찾아냈다. 당시는 박사과정 ... ...
[르포] 미래는 상상하고 설계하며 실행하는 국민에게 있다...두바이 새 랜드마크 미래박물관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서동준 기자 ○ 미래박물관은 새로운 '먹거리' 찾는 아이디어 논의의 장 전체 7층 중
꼭대기
층에는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다목적홀이 마련됐다. 345개 좌석의 강의실과 여러 실험실도 갖춰 과학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과학자들과 리더, 기업가들이 미래지향적 담론을 나눌 수 있도록 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장 작은 일반상대성 이론 시험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또는 ‘아인슈타인 편이’로 불리는 개념이다. 아인슈타인에 따르면 중력으로 인해 산
꼭대기
에서는 평지에서보다 시간이 더 빠르게, 낮은 고도에서 더 느리게 간다. 이 지금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위성의 측정값 수정을 비롯한 실생활에서도 활용되는 등 100년 넘게 과학자들을 매료시키고 ... ...
저 높은 곳에 어떻게 올라 갔을까?
팝뉴스
l
2022.02.12
제공 해외 SNS에서 화제가 된 사진이다. 고양이 한 마리가 높디높은 장대
꼭대기
에 올랐다. 해외 네티즌들은 사진을 보는 순간 가슴을 졸이게 된다고 말한다. 고양이의 안전이 걱정되는 것이다. 도대체 어떻게 저런 높은 곳에 올라가게 되었을까. 그 또한 궁금증을 자극하는 문제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