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상
정점
절정
천정
천정점
최고부
수석
뉴스
"
꼭대기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과학동아
l
2020.04.11
싱가포르 야경 명소인 가든스바이더베이에 있는 '슈퍼트리'. 높이가 최고 50m나 되는
꼭대기
에 태양전지가 설치돼있어 낮 동안 생산한 전기로 조명을 밝힌다.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태양전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제안도 나왔다. ‘고렙 덕후’ 서블루는 “도시 곳곳에 잎사귀가 ... ...
[잠깐과학]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4.04
수도 워싱턴 D.C.에 있는 첨탑인 ‘워싱턴 기념비’. 1884년 완공된 높이 170m의 이 탑
꼭대기
에는 2.6kg 짜리 알루미늄 피라미드가 씌워졌다. 그로부터 2년 후 찰스 마틴 홀이 ‘홀-에루 공정’을 만들면서 알루미늄의 가격이 폭락한다. Alvesgaspar/위키피디아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7호 (4.1발행). ... ...
800년 전 노트르담을 되살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천장 위로 강철 빔을 설치했다. 이 빔을 따라 마치 라펠(절벽 하강)을 하는 것처럼 건물
꼭대기
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위험한 비계(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구조를 안정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물과의 사투도 벌어졌다. 성당 벽면을 구성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
2020.02.05
술잔을 내놓았다. 미국도 국력을 자랑하기 위해 국회의사당의 돔과 워싱턴 기념비의
꼭대기
를 알루미늄으로 치장했다. 그런 알루미늄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역시 기술 혁신 덕분이었다. 미국의 찰스 홀과 프랑스의 폴 에루가 22살이었던 1886년에 독립적으로 새로운 제련법을 개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저 깊은 곳부터 끓어오르고 있는 불꽃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
꼭대기
의 할레마우마우 분화구의 모습이다. 할레마우마우 분화구는 화산이 폭발하며 빈 마그마방이 무너져 생기는 분지인 칼데라 중앙에 있다. 킬라우에아 화산은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분화하며 3개월간 ... ...
운석에서 RNA 만드는 '당'성분 발견…목성·토성 위성 생명체 존재 가능성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19.11.21
특정 주파수의 적외선을 방출하는데 연구팀은 이 적외선을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꼭대기
에 위치한 케크 천문대 망원경으로 포착했다. 연구팀은 초당 2360㎏의 물이 유로파의 대기중으로 분출되는 것을 2016년과 2017년 17일간 관측을 통해 밝혀냈다. 유로파는 거대한 얼음으로 덮인 표면에 무수한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선박용 이어 항공용 위성 안테나 시장도 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19
박 상무는 "항공기의 꼬리날개나 여객기의 동체 등부분, C-130 같은 군용 수송기의 머리
꼭대기
부분에 부착하는 형태"라며 "주로 정지궤도위성 기반 Ku밴드와 Ka밴드를 활용하는데, 처리속도가 300Kbps(킬로비트)~10Mbps로 해상 위성통신보다는 조금 느린 편"이라고 말했다. 항공기에 타고 있는 모든 ... ...
[2019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D-3, 망해가던 부품회사에서 세계적 우주기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450개 이상의 크고 작은 기업이 인텔리안의 안테나를 이용합니다. 크루즈선 등 선박의
꼭대기
를 살펴보면, 여지없이 인텔리안의 이름이 파란 글씨로 적힌 흰 안테나를 발견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자체 브랜드로 거의 대부분의 제품을 수출해 인지도도 높고, 업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 받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그들 대부분의 이름을 역사에서 지우고 ‘보일의 법칙’이라는 이름으로 피라미드
꼭대기
의 과학자 한 명만을 기억한다. 이런 상황은 현대에도 지속되고 있다. 현대의 생물학 실험실은 연구실을 책임지는 연구책임자인 과학자 한 명과, 한 두명의 기술자 혹은 테크니션 (테크니션이라는 명칭은 2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제한된 시간과 공간을 극복하고 사람이든 화물이든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에베레스트
꼭대기
까지 구석구석 어디든 보낸다. 하지만 편리함과 동시에 세계가 하나로 다 같이 묶여 있기 때문에 치료약 없는 질병이나 천적 없는 생물이 퍼지면 단 한 번에 공멸의 길로 갈 수도 있다. 외래종 불개미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