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종료
뉴스
"
마침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임선희 교수 "여러 세대가 쓰는 아이디어 내고 싶어"
수학동아
l
2023.01.21
014년 가을부터 2015년 여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에서 방문 교수로 지냈는데
마침
그 해 봄 버클리에 있는 MSRI(수리과학연구소)에서 동역학 관련 학회 프로그램이 한 학기 동안 열렸어요. 이때 르드라삐에와 제가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김에 매일 만나서 연구했습니다. 힘들었지만 제가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제공 뉴턴은 1665년에 오늘날 미적분학에 해당하는 수학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마침
페스트로 인해 대학이 문을 닫자 갈 곳이 없어져 울스도프(Woolsthorpe)에 있는 집으로 돌아갔다. 당시의 울스도프는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 대학이 다시 문을 열 때까지 특별히 할 일이 없었던 뉴턴은 고향집에서 ... ...
[인터뷰] 옥스퍼드 출신 수학도 '파티시에' 된 사연
수학동아
l
2022.09.17
저의 섬세한 성격까지 살릴 수 있는 게 없을까 고민하다가 디저트 사업이 떠올랐어요.
마침
저희 어머니가 홈 베이킹을 취미로 하셨었지요. 그래서 어머니와 함께 베이킹을 본격적으로 배우고 디저트 카페를 열게 된 거예요. Q. 퇴사하고 디저트 카페를 차리겠다고 했을 때 부모님의 반대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실함'은 미덕이지만 '재미'도 찾아야
2022.08.27
들어 고민하던 찰나 혹시 너무 열심히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질문해 봤다.
마침
자기통제를 지나치게 잘 하는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에 의해서 성실한 사람이라는 평가 못지 않게 “지나치게 로봇같고 비인간적인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는다는 연구를 보게 됐다. 열심히 살면 기계같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박사학위 과정 중에 잠시 독일로 돌아와 튀빙겐대에서 란데와 공동연구를 하고 있었는데
마침
그때 파울리가 튀빙겐대를 방문할 일이 있었다. 파울리는 크로니히의 아이디어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고 이를 계기로 크로니히도 전자의 자전이라는 개념을 더 이상 발전시키지 않았다. 왼쪽부터 ... ...
[인터뷰]"의사도 데이터 공부를 꼭 해야 하는 시대가 옵니다"
과학동아
l
2022.02.05
매력적인 제안이 어딨어요? ‘컴퓨터 계의 페라리’를 장만할 기회다! 그래서 했어요.”
마침
10여 년 진료와 수술을 반복하며 기존 삶을 벗어나 연구를 하고 싶다는 갈망이 커지던 차였다. 갑자기 좋아하던 컴퓨터 분야, 그것도 첨단 주제인 데이터와 AI를 연구할 기회가 생겼다. 신이 날 수밖에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소행성일 가능성도 남겨뒀다. 이를 정확히 확인하려면 직접 탐사하는 길밖에 없는데
마침
중국이 2020년대 후반에 진행할 소행성 탐사 목표로 카모 오알레아를 잡고있어 이를 통해 판가름 날 전망이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2021.10.08
리스트 그룹에서 발간한 거의 모든 논문을 다 읽고 아이디어를 준비해 갔는데, 이것이
마침
리스트 교수의 제안과 정확하게 맞아 떨어졌다. 왜냐하면 그간에 행해온 연구를 통해 유기촉매의 한계점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운이 좋게도 매우 열심히 연구생활에 뛰어들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그렇다면 아인슈타인의 새로운 중력이론도 그 효과가 우주에서 가장 잘 드러날 것이다.
마침
20세기 초에는 천문학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해묵은 문제가 하나 있었다. 바로 수성의 근일점 이동 현상이었다. 근일점이란 행성이 태양 주변을 공전할 때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다. 행성이 ... ...
[프리미엄리포트]달의 안색을 살피다
과학동아
l
2021.05.22
클 때 흔히 ‘슈퍼문이 떴다’고 한다.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근지점 부근에 있을 때
마침
보름달이 뜨면 슈퍼문을 관측할 수 있다.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27일(지구와 달의 거리 약 35만 7779km), 가장 작은 보름달은 11월 19일(지구와 달의 거리 약 40만 4844km)에 뜬다. 아래 왼쪽 사진은 2017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