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종료
뉴스
"
마침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실함'은 미덕이지만 '재미'도 찾아야
2022.08.27
들어 고민하던 찰나 혹시 너무 열심히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질문해 봤다.
마침
자기통제를 지나치게 잘 하는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에 의해서 성실한 사람이라는 평가 못지 않게 “지나치게 로봇같고 비인간적인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는다는 연구를 보게 됐다. 열심히 살면 기계같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박사학위 과정 중에 잠시 독일로 돌아와 튀빙겐대에서 란데와 공동연구를 하고 있었는데
마침
그때 파울리가 튀빙겐대를 방문할 일이 있었다. 파울리는 크로니히의 아이디어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고 이를 계기로 크로니히도 전자의 자전이라는 개념을 더 이상 발전시키지 않았다. 왼쪽부터 ... ...
[인터뷰]"의사도 데이터 공부를 꼭 해야 하는 시대가 옵니다"
과학동아
l
2022.02.05
매력적인 제안이 어딨어요? ‘컴퓨터 계의 페라리’를 장만할 기회다! 그래서 했어요.”
마침
10여 년 진료와 수술을 반복하며 기존 삶을 벗어나 연구를 하고 싶다는 갈망이 커지던 차였다. 갑자기 좋아하던 컴퓨터 분야, 그것도 첨단 주제인 데이터와 AI를 연구할 기회가 생겼다. 신이 날 수밖에 ... ...
지름 50m 지구근접 소행성 '카모 오알레와'는 달서 떨어진 파편
연합뉴스
l
2021.11.12
소행성일 가능성도 남겨뒀다. 이를 정확히 확인하려면 직접 탐사하는 길밖에 없는데
마침
중국이 2020년대 후반에 진행할 소행성 탐사 목표로 카모 오알레아를 잡고있어 이를 통해 판가름 날 전망이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2021.10.08
리스트 그룹에서 발간한 거의 모든 논문을 다 읽고 아이디어를 준비해 갔는데, 이것이
마침
리스트 교수의 제안과 정확하게 맞아 떨어졌다. 왜냐하면 그간에 행해온 연구를 통해 유기촉매의 한계점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운이 좋게도 매우 열심히 연구생활에 뛰어들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그렇다면 아인슈타인의 새로운 중력이론도 그 효과가 우주에서 가장 잘 드러날 것이다.
마침
20세기 초에는 천문학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은 해묵은 문제가 하나 있었다. 바로 수성의 근일점 이동 현상이었다. 근일점이란 행성이 태양 주변을 공전할 때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다. 행성이 ... ...
[프리미엄리포트]달의 안색을 살피다
과학동아
l
2021.05.22
클 때 흔히 ‘슈퍼문이 떴다’고 한다.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근지점 부근에 있을 때
마침
보름달이 뜨면 슈퍼문을 관측할 수 있다.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27일(지구와 달의 거리 약 35만 7779km), 가장 작은 보름달은 11월 19일(지구와 달의 거리 약 40만 4844km)에 뜬다. 아래 왼쪽 사진은 2017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
2021.05.20
플로리와 체인은 페니실린의 대규모 생산을 위해 미국의 제약업체들에 지원을 호소했다.
마침
록펠러재단이 이 둘의 연구를 지원하자 플로리와 체인은 아예 미국으로 건너가 페니실린 연구에 박차를 가했다. 결국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 페니실린은 전장에서 수많은 병사들의 목숨을 살렸고, ... ...
태양탐사선 '파커' 중력도움 비행 중 금성 전리층 30년만에 통과
연합뉴스
l
2021.05.04
들어가 측정한 것이 아니라 확인이 필요했다. [NASA/Johns Hopkins APL/ 재판매 및 DB 금지]
마침
파커호가 중력도움 비행을 한 시점은 태양 활동 극소기를 지난 지 6개월밖에 안 돼 태양활동 극대기로 접어들 때 전리층 밀도를 측정한 파이오니어호 자료와 비교하는데 안성맞춤 자료가 됐다.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없지만, 잡종끼리는 생식력 있는 새끼를 낳을 수 있는 경우 새로운 종이 나타난다.
마침
잡종이 적응력이 더 높으면 점차 부계 종과 모계 종을 대체하며 우점종이 될 수 있다. 당시 혼혈이 일어난 장소(아마도 북미)의 기후가 부계와 모계가 최적화된 시베리아보다 따뜻해 별종 자식인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