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발표용 레이저포인터 수준 빛으로 생체 내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25.05.19
원리다. 광자
밀도
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가 필요한 이유다. 광자
밀도
가 낮은 일반 레이저는 광자 2개가 동시에 한 분자에 도달할 확률이 낮다. 연구팀은 '상향변환 나노입자(UCNPs)'라는 나노물질을 활용해서 펨토초 레이저 없이도 초점 부근에서만 형광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 ...
쓰레기 '바르게' 버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17
있다. Jess Hawsor(W) 제공 쓰레기를 따로 오래 보관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인구
밀도
가 높은 뉴욕에서는 쓰레기로 인한 냄새나 벌레 문제로 이웃과 갈등이 생기기 쉬워요. 그래서 재활용품이나 음식물쓰레기를 일일이 분리하거나 따로 보관하지 않고 모든 쓰레기를 한번에 버려서 간편하고 ... ...
다 쓴 배터리, 고성능 배터리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MIT) 교수 연구팀, 얀하오 동 중국 칭화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폐배터리를 고에너지
밀도
의 니켈리치(NCM811) 양극재로 재생하는 공융염 기반 업사이클링 공정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니켈리치는 질소 함량이 70% 이상인 양극소재, 공융염은 둘 이상의 염이 일정한 조성비로 혼합된 혼합염이다. ... ...
파도 헤치며 고래 추적…네이처 '2025년 일하는 과학자' 사진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파악하는 것이 목표다. 하늘로 올라간 기상 관측용 풍선은 다양한 고도에서 구름의
밀도
등을 측정한다. Jiayi Wang ● 금광을 향해 마지막 수상작에는 시베리아 동부에서 현장 조사를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는 중국 지질과학대 연구자의 뒷모습이 담겼다. 연구팀은 금 광맥 근처의 지질 프로필을 ... ...
곡물 씨앗 추출 물질 '탈모 치료'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3
재생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기존 치료제인 미녹시딜보다 모발 재생 속도가 빨랐고 모발
밀도
가 높았다. 연구팀은 추가 분석을 통해 CSMi 크림은 세포의 에너지 대사 과정인 ‘해당과정’과 손상된 세포 성분을 스스로 분해하는 ‘자가포식’을 활성화해 모낭 형성을 촉진하고 모발 성장기를 ... ...
"동해 심해에서 중성미자 검출하자…韓, 입자물리학 선도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내용에 따르면 동해 심해 중성미자 검출기와 J-PARC 사이의 거리는 약 850km로 중성미자의
밀도
가 비슬산 지하보다 2배 이상 높아 실험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동해는 지중해와 남극에 있는 중성미자 실험 시설과 함께 지구에 거대한 삼각형을 그리는 위치로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 ... ...
전극·전해질 밀착시켜 실리콘 배터리 상용화 앞당겨
동아사이언스
l
2025.05.09
2배 가까이 에너지
밀도
가 향상된 수치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에너지
밀도
와 고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차세대 전지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IEE 시스템은 전극과 전해질 간 계면 ... ...
전류 흐름 자유자재로 바꾸는 '재구성형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센서를 기기 내부에 높은
밀도
로 집적하는 인공지능 하드웨어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6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928-025-01379- ... ...
[사이언스영상] 3~8월생이 쉽게 살찌는 이유
SEIZE
l
2025.05.04
잉태된 사람과 추울 때(10월 17일~4월 15일) 잉태된 사람으로 나눈 것이다. 이들의 갈색지방
밀도
, 활동성, 열 발생량 등도 분석했다. 그 결과 활성화된 갈색 지방을 지닐 확률은 따뜻할 때 잉태된 사람들이 더 낮았다. 에너지를 덜 소비해 비만이 되기 쉽다는 뜻이다. 또 추울 때 잉태된 사람들은 ... ...
차세대 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복합섬유소재로 에너지 저장량 한계 극복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밀도
가 모두 향상됐다. 전력
밀도
는 전기가 얼마나 빠르게 방출될 수 있는지를, 에너지
밀도
는 전기를 얼마나 많이 저장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연구팀이 개발한 슈퍼커패시터는 10만회 이상의 충방전 테스트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고전압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났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