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식각장비 교체 빈도 줄이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치밀체 소결 공정 기술을 통해 99.9%
밀도
의 투명한 세라믹을 개발했다. 무기공 치밀제는
밀도
가 높은 고체 상태의 재료를, 소결 공정은 분말 상태의 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해 단단한 고체 상태로 만드는 공정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직접 개발한 고엔트로피 세라믹을 구성하는 원소의 결정구조 ... ...
국민건강영양조사 골
밀도
검사 19세 이상으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기존 40세 이상에서 19세 이상으로 확대한다. 19세 이상 국민의 전신, 대퇴, 요추 부위 골
밀도
를 측정해 골다공증과 근육량을 확인한다. 건강 설문에는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외로움 등의 문항이 도입됐다. 사회적 지지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19세 이상이 의지 또는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 ...
올해가 태양 극대기라는데…작년 강력한 태양풍에 지구 자기권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지구 고위도 상층 대기에 에너지 유입이 증가해 지구 열권이 가열됐으며 전리권의 전자
밀도
변화가 일어났다. 연구팀은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와 영천 보현산천문대에서 운영 중인 천문연 전천카메라를 통해 오로라를 확인했으며 거창 감악산에 설치된 중성자 모니터를 통해서도 우주방사선 유입의 ... ...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제작했다. 이중 게이트 구조란 상부와 하부의 2개 전극을 통해 전기장을 제어하고 전하
밀도
와 밴드 간극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다. 이어 그래핀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가장자리와 ‘반응성 이온 식각(Reactive Ion Etching) 공정’으로 가공된 깎아낸 가장자리를 비교해 전기적 특성을 ... ...
그래핀과 초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노출하고 이 위에 초전도체를 접합했다. 이 방식은 기존 1차원 접합과 달리 그래핀 전하
밀도
와 극성을 게이트 전압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 도핑 상태에서도 초전도체와 그래핀 간의 원활한 연결이 가능해 강력한 초전도 근접 효과와 높은 접합 투과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 ...
근육에 지방 쌓이면 유방암 치료 효과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7
예후가 나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현욱 교수는 “근육의 방사선
밀도
가 낮게 나타나는 근지방증이 유방암 치료제의 투여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지표임을 확인했다”며 “유방암 환자 치료에는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영양관리와 운동요법 등을 통한 근육의 질 개선을 위한 ... ...
12분 만에 완충 가능 '차세대 리튬-황 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7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황 나노물질을 이용해 만든 리튬-황 전지는 에너지
밀도
가 높고 황이 저렴한 소재라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리튬-황 전지를 급속충전할 때 황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전지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 방전 과정에서 황이 분해돼 생성된 ... ...
배터리 화재 줄이고 수명 늘리는 삼중층 고체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에 공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음극재로 금속 리튬(Li)을 사용한 리튬금속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
가 높아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받는다. 특히 고분자 고체를 전해질로 사용하면 누액 위험이 적고 설계가 유연해지는 장점이 있다.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금속 배터리는 전해질과 전극 ... ...
배터리 소재 '리튬', 자폐증 치료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기능, 뇌 크기 등의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Dyrk1a 유전자 결손은 시냅스의
밀도
와 흥분성 시냅스의 기능을 감소시켰고 신경세포 가지 구조를 축소시키는 등 뇌 구조 및 기능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했다. 또 세포 발달과 기능을 제어하는 mTOR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해 뇌 성장과 신경세포 ... ...
KAIST·LG엔솔, 도심항공모빌리티용 리튬황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이상의 에너지
밀도
를 구현하는 리튬황전지를 개발했다. 상용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가 60% 이상 높으면서 수명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UAM용 배터리 사용 가능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다양한 전해액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리튬황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주요 원인은 전극 부식으로 인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