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앞으로 다가온 美 대선…트럼프 지지 뇌는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24.11.02
보고된 부위 - 보수주의자와 진보주의자의 뇌는 다르다. 특정 영역에서 회백질
밀도
의 차이가 보고된 것은 물론 위험을 평가하거나 역겨운 것을 봤을 때 반응하는 뇌의 부위도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차이가 보고된 뇌가 어떤 역할을 하는 곳인지 정리했다. Nature Physics 제공 '보수주의자와 ... ...
밀반입 마약 '꼼짝마'…진화한 엑스레이·AI 시스템 첫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원자력연)이 개발한 대표적인 성과인 소형화물 검색용 복합 X-Ray 장비는 마약 등
밀도
가 낮은 물질을 정확히 선별할 수 있다. 기존의 투과형 외국 장비와 달리 산란 방식을 추가해 물품의 판독 능력을 향상시켰다. 국내 마약이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에게도 확산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응책이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벌크 이종접합(BHJ) 간의 에너지 장벽을 완화하고 전하 축적을 억제했다. 이를 통해 전류
밀도
를 1cm(센치미터) 당 4.9mA(밀리암페어)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다이폴 층은 소자 내 에너지의 준위를 조절해 전하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계면의 전위차를 형성해 소자 성능을 향상하는 역할을 하는 얇은 ... ...
[과기원NOW] UNIST 이규호 교수팀, 제25회 반도체설계대전 국무총리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24일 'Npj 컴퓨테이셔널 머터리얼즈'에 공개됐다.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양자역학적
밀도
범함수론' 계산은 빠르고 정확하게 양자 물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첨단 소재, 약물 설계를 포함한 연구개발에서 표준 도구로 자리 잡았다. 연구팀은 양자역학 방정식을 수십 수백번씩 반복해야하는 ... ...
'꿈의 온도' 250도서 작동하는 수소연료전지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연료전지에 공급할 수 있었다. SAN-CeHP-PBI 기반 연료전지는 250°C 조건에서 최대 출력
밀도
가 단위면적(cm²)당 2.35W(와트)를 달성해 세계 최고 수준을 보였다. 80~160°C 열 사이클링 테스트에서는 기존 대비 10배 이상 긴 5000시간 이상의 장시간 운전이 가능했다. 160~240°C 중고온 열 사이클링 ... ...
극저온에서 뭉치는 물 분자 움직임 최초 규명…냉동·에너지 분야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설명했다. 김 교수는 "플라즈모닉 나노칩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관찰 기술로 물 분자 고
밀도
클러스터 형성 과정을 명확히 포착할 수 있었다"며 "연구결과가 동결 기술 및 물 에너지 효율성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02/smsc.20240042 ... ...
피부 아래 췌장 조직 심어 당뇨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식체의 상부층과 하부층에 췌도가 집중된 구조다. 췌도의 분포
밀도
를 정교하게 조절해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받을 수 있게 만들었다. 췌도 외에 이식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모두 생체 친화 물질이다. 이식체의 복잡한 구조는 정밀 바이오 3D(3차원) 프린팅으로 ... ...
하반신 마비 환자에 스스로 입혀지는 웨어러블 로봇…"땅을 걷는 느낌 되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충격에도 균형을 잃지 않도록 설계했다. 부품을 개선해 모터와 감속기 모듈의 출력
밀도
(단위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를 기존 모델에 비해 무게당 파워 기준 약 2배 높였다.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에 대한 응답속도를 기준으로 측정한 모터드라이버의 제어 성능 또한 해외 최고 기술 대비 ... ...
[과기원NOW] UNIST, 소형 원전 원격 감시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재생가능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리뷰'에 공개됐다. 산화마그네슘(MgO)은 높은 열저장
밀도
, 무독성, 경제성 등으로 열저장 소재로 많은 주목을 받지만 반복적인 저장, 방출 과정에서 파우더 입자가 응집돼 성능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넓은 기공 분포도와 비표면적을 갖는 성형체를 ... ...
스스로 걸어와 장애인에 입혀진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10.24
메인 회로 등을 전부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부품을 개선해 모터와 감속기 모듈의 출력
밀도
(단위 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를 기존 모델에 비해 무게당 파워 기준 약 2배 높였다. 신호를 전달하는 주파수에 대한 응답속도를 기준으로 측정한 모터드라이버의 제어 성능 또한 해외 최고 기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