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끄러움"(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비사회성(asociality)라 부르며 비사회성은 내향적이거나 사회공포증(social anxiety)이 있거나 부끄러움이 많은 것과는 구분된다, 우선 내향성은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을 싫어하거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그보다는 외향적인 사람들에 비해 자극추구 성향과 에너지 수준이 다소 ... ...
- 면접 전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2017.06.17
- 더 빨리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들은 끝난 과제에 대해 계속 생각하면서 부끄러움이나 후회를 느끼는 곱씹기(rumination)도 덜 보였다. 3인칭으로 생각한 사람들이 1인칭으로 생각한 사람들에 비해 정서적으로 훨씬 안정된 모습을 보였을 뿐 아니라 제 3자에게 평가하게 했을 때 사람들과의 교류나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사람들을 비난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한 죄책감과 나 자신이 쓸모없는 인간인 것 같다는 부끄러움은 그대로 가지고 있기에는 너무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보통 이렇게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이 다가올 경우 우리는 무기력한 채로 아무 것도 하지 않게 되거나 아니면 필사적으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 ...
- 수학, 무섭고 엄하게 가르치면 점수 안 오른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4
- 번씩 1년 동안 수학 공부를 하며 느꼈던 감정을 문항에 따라 즐거움, 자신감, 분노, 불안, 부끄러움, 지루함, 절망과 같이 7개로 구분한 다음 0~5점 사이를 주었습니다. 학업 성취도는 연말에 치르는 기말고사 점수로 평가했습니다. 수학, 무섭고 엄하게 가르치면 점수 안 오른다! - (주)동아사이언스 ... ...
- 당신은 무엇때문에 부끄럽나요? 양심 혹은 남의 시선? 2017.01.29
- 보면 치료를 받아야 할 사람은 너무 부끄러움을 많이 느끼는 회피성 장애 환자가 아니라, 부끄러움이 너무 없는 사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 참고문헌 박한선(2012), 네이버 정신건강 프로젝트- 마음의 소리를 들어라 루스 베네딕트(1946), 국화와 칼(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 필자소개 박한선. ... ...
- 위에 있는 분이 맨날 거짓말만 합니다. 어떡할까요?2016.11.21
- 당부합니다. 하지만 그는 뱀의 꾀임에 빠진, 아내 이브와 같이 열매를 먹습니다. 그리고 부끄러움을 알게 되어, 나뭇잎으로 자신의 몸을 가립니다. 왜 열매를 먹었냐는 신에게, 이브가 주어서 먹었다며 거짓말로 변명했다고 합니다. 최초의 거짓말입니다. ● 거짓말을 하는 유일한 동물, 인간 ... ...
- 자기 방어와 합리화, 어떤 상황에서 튀어나올까2016.10.11
- 성적표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이렇게 유용한 감정을 잘못 사용하는 건 너무 아깝다. 부끄러움이 생긴다면 뭔가 책임지고 시정해야 할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닌지, 혹시 그러지 않고 자기 방어에만 몰두해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 참고문헌 Tracy, J. L., & Tangney, J. P. (2012) Self-conscious ...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2016.10.10
- 깊은 감동을 느낌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이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사실에 슬픔과 부끄러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나는 지금까지 줄곧 객관적인 문제만을 다루어 왔습니다. 때문에 사람을 적절히 다루고 공적인 직무를 수행해 나갈 타고난 재능과 경험이 모두 부족합니다.” 1952년 73세의 알베르트 ...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2016.06.21
- 때문에 무너지기 쉽다. 그 결과 이들은 작은 평가 하나에 쉽게 좌절하고, 화를 내고, 부끄러움을 쉽게 느끼고, 사람들에게 적대적인 태도와 불신을 잘 보이는 현상을 보이는 편이라는 연구도 있었다(Krizan & Johar, 2015). ● ‘높은’ 자존감과 ‘건강한’ 자존감은 다르다 심리학을 배우면서 자존감이 ... ...
- [광화문에서/윤신영] 남자만 있는 게 아니다2016.05.03
- 평소 이 부분을 세심하게 관찰해 온 전문가의 눈은 달랐고, 나는 그 시선에서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꼈다. 그날 이후 많은 게 달리 보였다. 과학관과 자연사박물관의 인류 모형은 왜 대부분 백인 남성의 모습인지, 인체 해부도는 왜 주로 남성인지 궁금해졌다. 또 그림에서 묘사된 과학자는 왜 죄다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