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부끄러움"(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 자문하게 되었다. 사람들 앞에서 쭈뼛쭈뼛 하는 것도, 어색한 미소를 날리는 것도, 부끄러움이 많은 것도 어느 정도는 타고난 성격 탓이요 내 잘못이 아닌데, 이미 충분히 잘 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는데 괜히 높은 기대를 가지고 스스로를 몰아붙이고 있는 것이 아닌지 묻게 되었다. 자아가 없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부정적 정서는 주의를 빼앗는데 능숙하다2022.06.25
- 그러다가 자신은 왜 이것밖에 안 되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게 되고 부끄러움을 느끼게 되면 되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줄이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어떤 문제의 존재가 자아를 위협하게 되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숨기는 데 더 급급하게 되기 때문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내 편을 얻는 순간 상대를 해치는 죄책감에서 간단히 벗어난다2022.03.12
- 소유물이어야만 한다는 둥 상식적인 상황에서 함부로 입에 담기 어려운 말들도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내뱉는 현상이 나타난다. 오직 여성들 때문에 자신의 삶이 괴로운 것이라는 자기들만의 잘못된 문제 진단에서 더 나아가, 여성을 억압하는 것만이 해결책이라는 자기들만의 대체 도덕 규칙까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속내를 금방 들키는 사람2020.11.07
- 것이다. 하지만 실은 누군가 나를 보고 있었다고 하면 상황은 많이 달라진다. 이렇게 부끄러움과 당황스러움이 사회적 감정이듯 이들 감정에 동반되는 생리적 반응인 얼굴 붉힘 또한 대부분 사회적 상황에서 일어난다.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서 리어리는 얼굴 붉힘이 좀 더 구체적으로 '사람들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머릿속을 지배하는 부정적 '알람' 끄는 법 2020.06.13
- 기본적으로 존재 가능한 문제를 해결하고 생존 능력을 쌓기 위함이다. 화, 두려움, 슬픔, 부끄러움 등의 부정적인 정서는 생존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메신저들이다. 각각 내게 해롭기 때문에 물리쳐야 하는 대상이 있다는 정보(화), 살려면 빨리 도망쳐야 한다는 알람(두려움), 뭔가 소중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코로나19로 스트레스 받는 아이를 보듬는 법2020.05.02
- 가지고 고민하냐고 핀잔 주거나 그런 걸로 고민하는 네가 이상하다며 아이가 죄책감이나 부끄러움을 갖게 만드는 것도 흔히 나타나는 실수다. 이렇게 되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게 된다. 따라서 어른이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기 전에 아이가 하고싶은 말, 아이가 생각하는 바에 대해 먼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행기 타는 게 부끄러운 사람들2020.01.29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때문에 해외여행을 취소하게 돼 속이 상한 사람들은 ‘비행 부끄러움’ 개념을 떠올리면 약간이나마 위안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 [인류와 질병] 몸니, 옷과 함께 진화하다2019.11.16
- 좋다. 다음 편 미리 보기┃수고로운 출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창세기에 의하면 부끄러움을 알게 된 인간에게 신은 가죽 옷을 지어 입혔다. 아마 그때부터 몸니도 시작되고, 티푸스도 시작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신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자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임신하는 고통을 크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 것만 같았고 나는 이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다는 생각까지 들었다. 그렇게 며칠을 분노와 부끄러움, 자학에 소모했다. 그러다 문득 그런데 내가 뭘 모르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 질문해보았다. ‘내가 뭘 좀 모르는 게 그렇게 큰 일인가? 사실 당연한 게 아닐까? 내가 뭐라고 나는 나한테 완벽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2018.07.28
- 힘을 얻고 있는 것 같다.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음을 기억해보자. 몸에 대한 부끄러움의 대를 끊어보자. [1]Alperin, A., Hornsey, M. J., Hayward, L. E., Diedrichs, P. C., & Barlow, F. K. (2014). Applying the contact hypothesis to anti-fat attitudes: Contact with overweight people is related to how we interact with our bodies and those of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