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연락 없음
불규칙
절연
뉴스
"
불연속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빛에만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그 근본적인 원인을 알지는 못했다. 각 원소별로 독특한
불연속
적인 스펙트럼이 나오는 이유는 양자역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닐스 보어가 1913년 자신의 원자모형을 제시하면서 드러나기 시작했다. 하나의 독자적인 동역학 체계로 양자역학이 구축된 것은 그로부터 다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간에서 생존 에너지 얻는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박테리아다. 표지에 보이는 박테리아는 망간이 산화할 때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불연속
망간 단괴 결절을 만들어낸다. 과학자들은 망간이 산화할 때 나오는 에너지를 얻어 존재할 수 있는 미생물이 존재할 것이라고 오랜 기간 예측해 왔다. 망간은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광물 중 하나다. ... ...
양자 광원 제어 기술개발로 양자컴퓨팅 시대 앞당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제작하고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양자 광원은 반도체에서 나노 크기의 물질이
불연속
적인 전자 에너지 구조를 가지면서 방출하는 광자를 말한다. 김제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원자 한 개 수준의 두께인 아주 얇은 '이차원 반도체 물질'과 부분적으로 힘을 제어할 수 ... ...
대안중력이론은 왜 일반상대성이론을 무너뜨리지 못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아인슈타인이 주장한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이론들의 도전을 끊임없이 받았다. 위키미디어 제공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고전적인 시공간을 측정 불가능한 수준의 작은 규모인 플랑크 규모(10의 –33제곱)의
불연속
적인 조각으로 이뤄진 1차원 고리 형태로 설명한다 ... ...
영하 40도 극지용 장거리 송유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연구팀은 극한지 영구동토에서 특정 지역의 동토 특성을 조사하는 장비 및 시험방법,
불연속
적인 동토 특성을 고려해 최적의 가스배관 경로를 결정하는 소프트웨어, 장거리 가스 배관에 필수적인 부품인 '볼밸브'를 자체 개발했다. 연구팀은 우선 극한지 동토지반 조사를 위한 지반조사 장비의 ... ...
[주말N수학] 큰 수 곱셈을 빠르게 하는 법
2019.05.11
수학자 아르놀트 쇤하게는 곱셈 계산에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처음 도입합니다. FFT는
불연속
적인 데이터로 이뤄진 함수를 다른 함수로 빠르게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FFT를 쓰면 특수한 상황에서 다항식의 계산을 빠른 속도로 할 수 있고, 그 정보를 이용해 다른 상황에서도 빠르게 값을 구할 수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⑨계산하는 기계 배우기
2019.04.30
외우고 반복하다보면 어느 순간 이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보통 개념에 대한 학습은
불연속
적인 과정의 연속이다. 배우고(學) 익히는(習) 것이다. 먼저, 숫자나 단어 등 정보를 저장하고 계산에 이용되는 변수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했다. 사용자의 입력값은 변수에 저장되고, 그 변수를 이용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시기 덴마크의 물리학자 닐스 보어는 수소원자의 스펙트럼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전자가
불연속
적인 에너지 상태로만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전자껍질 개념을 제시한다. 독일의 물리학자 아르놀트 조머펠트는 보어의 전자껍질(주양자수)이 오비탈(부양자수)로 세분될 필요가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변화되는 유형뿐이었다. 그런데 레이어드 라테 현상을 이용하면 구멍 크기가
불연속
적으로 바뀌는 계단식 아가로스 젤을 만들 수 있다. 연구자들은 아가로스를 4% 함유한 용액을 밀도가 높은 소금물에 부어 레이어드 액체를 만든 뒤 이를 식혀 굳힌 멀티레이어드 아가로스 젤을 얻었다. ... ...
모세혈관, 장기에 따라 형태-기능 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8
Sinusoidal capillary)’은 창문형보다 틈이 더 벌어진 상태로 가림막이 드문드문 끊어진
불연속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물질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간, 골수, 비장 등에 있다. 특정 장기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모세혈관도 있다. 눈에 있는 ‘슐렘관(Schlemm's canal)’은 혈관내피세포가 틈을 두고 배열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