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연락 없음
불규칙
절연
뉴스
"
불연속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땅 안파고 지하자원·매장유물 찾는 자율주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Radar)는 송신 안테나에서 광대역 전자기파 파동(Pulse)을 땅속으로 투과시키고 지하
불연속
면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술이다. 땅을 파지 않고도 지하 구조, 이상체, 물성 등을 고해상도로 영상화·지도화할 수 있어 지하 시설물 탐지, 교통 인프라 조사, 고고학 유적지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 ...
보행자 경로 예측 AI 개발…"질문-답변으로 발 디딜 곳 파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8
모델에서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연속적인 신호로 해석했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모델은
불연속
적으로 인식했다. 보행자의 한 걸음 한 걸음을 일종의 패턴으로 인지해 다음에 발 디딜 위치를 예측한다는 뜻이다. 언어모델이 추론 결과를 대화 형식으로 알려줄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전해곤 교수는 ... ...
'-2/3' '-3/5' 전하...그래핀 속 전자의 기묘한 행동, 양자컴퓨터에 활용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자기장의 세기를 매우 크게 한 뒤 홀 효과로 인한 저항을 측정하면 어느 순간부터
불연속
적인 계단 형태로 증가한다. 극저온과 고자기장 환경에서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정해진 에너지 수준 사이가 멀어지기 때문에 전자들이 에너지 수준 사이를 '점프'하는 양자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양자 ... ...
지구온난화가 지구 시간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때문이다. 둘 사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사람들은 1972년부터 UTC에 시간적인
불연속
값인 '윤초'를 계속 1초씩 더해 왔다. 원자시계로 잰 UTC가 지구의 자전을 기준으로 잰 시간보다 느려 이를 보정했다는 뜻이다. 애그뉴 연구원은 "윤초는 1972년부터 1999년 사이에 23번 추가됐고 지난 23년간은 단 ... ...
수성 지하에도 생명 존재 가능?…"극지서 소금빙하 증거 발견"
연합뉴스
l
2023.11.20
아래) 수성의 보레알리스 카오스 지역에 지하 휘발성 물질 분출로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불연속
적 융기(흰색 화살표) 지형들.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메신저 탐사선에 탑재된 해상도 1m인 '수성 이중 영상화 시스템'(MDIS)의 글로벌 모자이크 베이스 맵과 해상도 665m, ... ...
교통량·혈류 모델링 수학이론 제시 강문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05
중요한 특징은 매끄러운 초기함수에서 발현된 ‘해’가 유한 시간 안에 충격파와 같은
불연속
적이고 비가역적인 특이점을 생성하는 점이다. 19세기 수학자 리만이 제시한 ‘자기 닮음 충격파’가 물리적 교란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지 많은 수학자들이 답을 찾고자 했지만 ... ...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에 위상수학 대가 데니스 설리번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3.24
공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위상수학은 물질의 기하학적 형태가 바뀔 때 보존되거나
불연속
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연구하는 분야다. 물질의 형태 등을 수학적 데이터로 표현하기 위해 우주물리학,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한스 문데카스 아벨상 위원회 의장은 “설리번 교수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연속으로 분포할 것이다. 그러나 보어-조머펠트의 모형에 따르면 전자의 각운동량이
불연속
적으로 양자화 돼 있으므로 원자 빔이 특정한 방향으로만 갈라질 것이다. 슈테른과 게를라흐의 실제 실험결과 원자 빔은 두 개의 가닥으로 갈라졌다. 이는 보어-조머펠트 이론에서 예측한 이른바 ‘공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입자파동 이중성
2021.12.23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보어의 모형에서 가장 신비로운 점은 어떻게 전자가
불연속
적인 특정한 에너지 준위에만 존재하고 있는가이다. 만약 전자가 파동이라면 이점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간단하게 기타줄처럼 양끝이 고정된 줄이 진동하는 파동을 생각해 보자. 이런 파동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보어 원자 모형의 지지자들
2021.12.09
1914년 프랑크-헤르츠 실험 때에도 보어모형을 잘 알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들의 결과가
불연속
적으로 양자화된 에너지 준위를 갖는 보어의 원자모형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음은 자명했다. 프랑크와 헤르츠는 자신들의 이름이 붙은 실험 덕분에 전자와 원자의 충돌을 지배하는 법칙을 발견한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