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원 학생
학생
생도
뉴스
"
연구생
"(으)로 총 28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의대 교수 된 수학자…“전염병 조기 예측 기여하고파”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교수는 경북대 통계학과에 입학해 수학을 복수전공 했다. 그는 대학교 3학년 때부터 학부
연구생
으로 대학원을 기웃거리며 선배들을 찾아다녔다. 응용수학에 눈을 뜬 것도 그때부터다.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관심 분야를 따라 학업의 영역을 넓혀 갔다. 이 교수는 “수학과 달리 생물학에는 ... ...
[ESC의 목소리 (18ㆍ마지막회)] 한국 이공계 대학원의 선진화를 위해
2017.08.27
저는 실질적으로 우리 과학계를 움직이는 근간에서 노동을 제공하는 대학원생과 박사후
연구생
들에게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선진화의 길목에 서 있는 우리 과학계가 어떠한 비전을 이들 학문후속세대에게 제시하고 이들의 성장을 도와줄 수 있을지를 다양한 분들과 함께했던 토론을 ... ...
“국가 R&D 사업, ‘선택과 집중’ 위해 재정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7.07.25
비정규직 문제도 지적됐다. 권지언 서울대 신소재공동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학생
연구생
1명이 행정에만 매달리지 않는 한 연구자들이 행정 부담 때문에 연구에만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이에 유 장관은 “연구지원 인력을 무작정 늘리기보다는 행정 부담 자체를 줄이는 ... ...
[바둑과 처세술⑤] 토끼냐 오리냐, 시각의 차이가 변화를 만든다!
2016.08.31
일본에서 활약하는 조치훈 9단이 시합을 하고 나서 둔 복기할 때 옆에서 바둑을 기록하던
연구생
이 바둑수를 지적한 적이 있다. 이때 조 9단은 갑자기 자신의 머리를 치며 "아니, 그런 수를 못 보다니!"하고 탄식을 했다. 실력이 강한 프로들이지만 때로는 구경하는 연습생보다 못 볼 때도 있다는 ... ...
[바둑과 처세술③] 인생 고수들이 속임수를 공부하는 까닭은?
2016.08.26
속임수를 써먹지 않는데 누구나 속임수를 열심히 공부한다는 점이다. 필자도 바둑
연구생
시절 책에 나온 속임수들을 바둑판 위에 돌을 놓아가며 암기를 했다. 써먹지도 않을 속임수를 뭣 하러 이렇게 공부할까? 그것은 상대가 속임수를 써 올 경우 올바로 응징하기 위해서다. 프로가 보이스피싱 ... ...
대회우승땐 특별승단 ‘입신’ 프로 9단 71명
동아일보
l
2016.03.19
재능이 있으면 프로기사들이 운영하는 바둑도장에서 실력을 다진다. 이어 한국기원
연구생
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Q. 입신(入神)으로 불리는 프로 9단이 왜 이렇게 많은지…. A. 현재 한국의 프로기사는 316명이다. 그중 9단은 71명으로 22% 정도 된다. 과거엔 승단 규정이 까다로워 조훈현 ... ...
[알파고 1승]“정교하지 못한 알파고, 남은 대국 이세돌 승리 가능성 높아”
2016.03.10
잘못 표시한 줄 알았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 수는 타이젬 9단(프로나 프로에 준하는
연구생
강자)들의 바둑에서 여러 번 나왔던 수라고 한다. 공식 대국과는 달리 부담이 없는 인터넷 대국에서는 포석 연구 차원에서도 신수를 많이 시도해본다. 알파고는 이번 시합을 앞두고 타이젬 9단들의 ... ...
이한웅 교수 “실험용 생쥐는 119보다 더 많은 사람 구합니다”
동아일보
l
2014.03.17
가득 찬 풀장에서 수영하는 것 같았다.” 1997년 미국 뉴욕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대
연구생
시절 지도교수가 실험용 생쥐 연구에 몰두하던 이한웅 박사(55·사진)를 가리켜 한 말이다. 이한웅 연세대 생명시스템대 생화학과 교수(실험동물연구센터 센터장)는 ‘실험용 생쥐’ 연구의 개척자다. 이 ... ...
이전
1
2
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