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아의식"(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2019.07.13
- 사람은 세 살이 되면 슬슬 나와 다른 타인의 존재를 의식하기 시작하고 타인의 입장이 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리게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날때부터 선할까, 아니면 백지로 태어난 후 선함은 오로지 배움과 훈련을 통해서만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일까? 공감에는 크게 두 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자신을 속이는 사람들2019.05.12
- 거짓말과 진실 중, 거짓을 받아들이는 사람이 있다. 리플리 증후군이다. 픽사베이 자신을 속이는 것은 인간 보편의 본성입니다. 우리는 모두 ‘진짜’ 자신보다 더 좋은 자신을 상상하고, 그렇게 믿고 싶습니다. 실제 자신보다 더 나은 자신이 되고 싶고, 그렇게 보이고 싶은 바람이죠. 하지만 한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왜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2019.02.17
- ‘어떤 사람들은 왜 단지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라는 질문을 들은 적이 있다. 최근 20대 한 남성이 자신을 무시했다는 이유로 생일을 맞은 여자친구를 무참히 살해한 일이 있었다. 지난 2016년 5월 서울 강남역에서 일어난 여성혐오 살인 사건 또한 가해자는 평소 여성에게 ‘무시당해서’가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자아를 전송할 수 있을까… ‘채피’동아사이언스 l2018.07.28
- 영화 채피의 주인공 로봇은 자신의 죽음을 두려워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유니버설픽쳐스인터내셔널코리아 제공 완벽한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한다면, 자신의 존재를 어떻게 생각하게 될까. 그 로봇은 인간사회에 녹아들기 위해 노력하게 될까, 아니면 인간보다 뛰어난 지능과 육체적 능력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당신의 마음은 독재자인가요? 2018.07.15
- 우리는 흔히 ‘내 안의 목소리’라는 말로 자신의 진솔하고 의미있는 본심을 표현합니다. 그런데 조금은 이상한 표현입니다. 내 마음은 원래부터 ‘내’ 마음인데, 도대체 누가 나에게 말을 거는 것일까요? 그냥 단순한 문학적 은유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매일매일 경험합니다. 자신의 행동과 생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동아사이언스 l2018.06.29
-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포스터 “어디선가 누구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1970년대 TV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만화영화 중 ‘짱가’라는 작품이 있었다. 짱가의 원제는 ‘아스트로 강가(アストロガンガ Astro-Ganga)’로, 1972년 NHK와 니폰 TV에서 총 26편으로 제작해 방영됐다. 한국에서는 동양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뚜렷한 개성 가진 인간의 친구… ‘스타워즈’동아사이언스 l2018.05.31
- ⑨ 로봇 하나하나의 특징 고려한 독특한 설정, “로봇도 성격을 가질 수 있을까” 스타워즈를 대표하는 두 대의 로봇. R2-D2와 C-3PO. ※이 기사엔 최근 극장에서 개봉중인 영화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와 관게된 내용이 일부 포함돼 있습니다. 줄거리와는 큰 관계가 없으나 스포일러에 민감하 ...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⑦ 내 의식을 로봇에 옮겨심는다면… 써로게이트동아사이언스 l2018.04.13
- 영화에 등장하는 로봇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로봇을 인간처럼 완벽한 자아를 갖춘 ‘인조인간’으로 묘사하는 경우다. 줄거리를 유지하려면 갈등이 필요한 법인지라 ‘인간만큼 똑똑한 로봇이 인간사회에서 겪는 부조화’가 갈등의 중심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로봇이 정체성 ... ...
- 타래과학(3) '나만 특별하다'는 허세는 왜 생길까?동아사이언스 l2017.12.08
- #편집자주 : 30년 내공의 과학동아 기사를 140자 트위터 맞춤 콘텐츠로 제공합니다. 트위터에서 '타래과학'(@5min_science) 팔로우하고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더 빠르게 만나보세요! #애호박 요즘 ‘나만 특별하다’는 허세에 빠진 이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오래됐지만 맞춤인 단어가 있죠. 바로 ‘ ... ...
- 똑똑한 동물일수록 더 보호받아야 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8.29
- '동물복지 교수' 도널드 브룸 영국 케임브리지대 수의대 명예교수. - 윤신영 제공 노과학자의 눈에서는 딜레마와 맞서 싸워온 베테랑의 풍화한 상흔이 읽혔다. 50년 가까이 ‘동물복지’라는 개념을 무기로 대중과 농축산인, 정부를 설득하며 싸워 온 흔적이었다. 동물복지라는 말을 그가 처음 쓴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