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속기 핵심 '대용량 스위치' 개발·실증…해외 최정상 연구기관 관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구조로 조합할 수 있어 맞춤형 설계도 가능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위치는 최대
전압
50킬로볼트(kV, 1kV는 1000V), 최대 전류 10킬로암페어(kA, 1kA는 1000A)를 견딜 수 있어 세계 최고 수준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기술 수요처인 포항가속기연구소, 동남권원자력의학원과 실증까지 마친 상태다. 연구팀은 ... ...
겨울철 전기차 배터리 고속 충전 음극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리튬인산철(LFP) 양극 소재와 결합했을 때 높은 방전
전압
인 3.0V(볼트)를 보였다. 방전
전압
이 낮으면 출력이 떨어진다. Cl-cHBC는 LTO를 음극 소재로 썼을 때보다 약 67%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연구팀은 “개발된 소재는 고온 후처리 공정 없이 저온에서 합성할 수 있어 상용화 시 가격 경쟁력을 ... ...
차세대 바닷물 전지, 값싼 목재 폐기물로 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테스트한 결과 백금 촉매와 거의 비슷했다. 과
전압
수준은 백금 촉매보다 더 낮았다. 과
전압
이 낮을수록 충전한 전기에너지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비율이 높아진다. 에너지 방전 속도와 관련된 최대 전력밀도도 백금촉매와 거의 비슷했다. 이 교수는 "개발된 촉매는 고가의 귀금속 촉매를 ... ...
우주환경 모사해 차세대 전력반도체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노출되는 환경을 구현했다. 이후 우주 모사 환경에서 자체 개발한 SiC 전력반도체의
전압
변화, 피폭으로 인한 누설 전류 증가 등 영향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데이터를 축적했다. 데이터 종합 결과 연구팀은 SiC 전력반도체가 실제 우주에서 사용될 때 장기적인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설계 기준을 ... ...
충방전 1000회에도 멀쩡한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특성으로 인해 실용화에 제약이 있다. 물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전압
범위인 '전위창'이 좁아 배터리의 성능이 제한되고 물 분자의 높은 반응성 때문에 배터리 수명이 짧다. 연구팀은 물의 반응성을 억제하는 ’용매화(solvation)’ 설계를 이용해 수계 리튬이온배터리를 ... ...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재헌·신진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전해액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해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술이다. 작동
전압
을 높이면서 배터리 수명도 길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이 상무는 주요 전기자동차 제조사의 배터리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상무는 ... ...
공기로 전기 만드는 배터리 수명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기존에 알려진 산화환원 매개체가 일중항산소 노출 후 충전
전압
이 크게 증가하고 산소 발생량이 50% 이상 감소하는 것과 대비되는 결과이다. 산소 발생비율이 감소했다는 것은 산화환원 매개체가 일중항산소 등과 반응함으로써 원상태로 돌아올 수 없는 비가역성을 ... ...
10억번 이상 스위칭해도 끄떡없는 '반도체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응용 전략을 제안했다고 7일 밝혔다. 상전이 바나듐 산화물 반도체는 특정 임계
전압
에 다다르면 소재 특성이 절연체에서 금속으로 바뀌어 전기 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 반도체는 저전력 광전자 소자 및 뉴로모픽 신소자를 위한 차세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응집물리의 양자현상을 ... ...
[과기원NOW] DGIST, 고용량·고안전성 양극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밝혀냈다. 기존의 복잡한 도핑이나 표면 처리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초기 활성화 충전
전압
을 높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양극재의 구조적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온라인판에 지난달 21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룡아트홀의 올해 첫 ... ...
섬유 한 가닥으로 인간 피부 감각 재현…신개념 열전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신축성과 58µV/K의 제벡 계수를 크게 넘어섰다. 제벡 계수는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
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열전 소자의 성능을 평가하는 지표다. 연구팀은 섬유형 열전 소자를 웨어러블 스마트 장갑에 통합해 다양한 자극을 감지하는 인간의 피부 감각을 모사한 센서 시스템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