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압력
전력
볼트
볼트수
voltage
뉴스
"
전압
"(으)로 총 515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량 수입 의존 투과전자현미경 국내 상용화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플랫폼을 구축한 바 있다. 엠크래프츠는 KBSI의 기술을 이용해 TEM 개발 기간을 단축해 저
전압
TEM 상용품 출시 및 판매 시점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BSI는 기술이전 후에도 엠크래프츠에 시제품 구축 및 양산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 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이 국내외 TEM ... ...
단일 원자 기반 양자 LED 광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냉각해야만 LED 광원을 작동시킬 수 있어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양자점이란
전압
이나 빛에 반응해 스스로 다양한 색의 빛을 내는 반도체 결정이다. 연구팀은 ‘육각형 붕소질화물(hBN)’을 활용해 전기로 빛을 내는 양자 LED 광원 기술을 구현했다. 단일 전자를 개별 원자 수준의 극단적으로 작은 ... ...
[사이언스게시판] 전기연, 올해의 숨은 가치 연구성과 사진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2팀, 우수 3팀 등 최종 6점을 선정했다. 영예의 대상은 전기물리연구센터의 사진 ‘고
전압
펄스전원 기반 플라즈마'가 차지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국내 디지털 기술의 글로벌 사업화 방안을 ... ...
체질량지수 25 VS 27…BMI 기준 논쟁
과학동아
l
2025.01.04
때 다른 방법들이 병행해서 쓰입니다. 대표적인 방법이 몸에 약한 전류를 통과시키며
전압
을 측정하는 '생체전기저항분석법'입니다(한국에서는 '인바디'라는 브랜드로 체성분 검사를 하면서 접해보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몸의 수분 대부분은 근육에 저장되기 때문에 지방 조직보다 전기가 잘 ... ...
그래핀과 초전도체 만남…전극 접합 획기적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접합했다. 이 방식은 기존 1차원 접합과 달리 그래핀 전하 밀도와 극성을 게이트
전압
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 도핑 상태에서도 초전도체와 그래핀 간의 원활한 연결이 가능해 강력한 초전도 근접 효과와 높은 접합 투과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기존 1차원 접합 방식은 ... ...
산소 방출 막았더니, 차세대 배터리 양극재 수명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에너지 밀도가 20% 더 높고 경제적이다. LLO는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용량과
전압
이 떨어진다는 점이 해결 과제로 지목됐다. 선행 연구에서 배터리 충·방전 시 LLO 양극재의 결정 구조가 변화해 배터리 성능 저하가 일어난다는 것이 확인됐지만 정확한 원인이나 해결책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 ...
겨울철 벼락에 취약한 풍력 발전기 피해 막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풍력터빈 블레이드(날개)를 보호하는 새로운 설계법을 고안했다고 16일 밝혔다.
전압
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존재하듯 낙뢰에도 정극성(+)과 부극성(-)이 존재한다. 구름이 양전하를 가지고 지면이 음전하를 띠면 정극성 낙뢰가 내리치고 그 반대일 땐 부극성 낙뢰가 생긴다. 낙뢰의 90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이 시스템은 계산기를 작동시킬 수 있을 정도인 935mV(메가볼트)의
전압
을 달성했다. 저
전압
기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에 적용 가능한 수준이다. 또 물리적 마모 없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사물인터넷(IoT) 기기나 자가 충전형 전자기기에 적용하는 데 유리하다. 서동화 ... ...
[인사] 한국전기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한국전기연구원 △적합성운영본부장 박용환(기존 대전력평가본부장 겸직) △고
전압
시험실장 금재범 △시험운영기획실장 이상윤 △제품인증실장 문지우(기존 품질경영실장 겸직) ...
[과기원NOW] 포스텍,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 전자 분포 조절하는 장비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초고분해 분광장치, 고속 교류
전압
펄스 발생기를 연동 결합한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
조절기를 개발해 나노 공간에서 저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조절하는 장비를 최초로 구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최근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