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기
쟁반
잔
뉴스
"
접시
"(으)로 총 20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문진 국지성호우 예측한 강릉 기상레이더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지상 10층 건물과 커다란 구 모양 보호막 안에 들어 있는 직경 8.5m 안테나로 이뤄져 있다.
접시
모양의 안테나는 30초에 360도로 1바퀴씩 빙글빙글 돌면서 대기권을 3차원으로 관측하고 있었다. 이 레이더는 독도 상공의 위험기상 감시를 위해 반경 280km까지 관측한다. 강릉 기상레이더의 안테나. ... ...
[화보] 올해 최고의 천체사진은 태양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작품이다. 천문연 제공 ● [심우주 부문] 은상 한건희 씨의 '매운맛 우주 스파게티'.
접시
에 담겨있는 매운맛 스파게티 면발 모양을 닮은 스파게티 성운을 촬영한 작품이다. 성운의 크기가 크고 또한 매우 어둡지만 가느다란 실타래가 얽혀 있는 물질 분포를 표현해보고 싶어 5일간, 약 40시간의 ... ...
사람 세포로 만든 바이오로봇...신경세포 상처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 척수나 망막 신경 손상 복구 등 활용 기대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로봇은 실험실
접시
에서 키운 인간 신경세포의 표면에서 움직이며 세포층에 생긴 틈을 메우기 위한 성장을 촉진하며 치유를 유도하는 능력을 보였다. 로봇 집합체에 의해 덮인 영역에서 신경세포가 성장했다. 하지만 정확히 ... ...
[씨즈더퓨쳐] 뇌세포와 컴퓨터가 결합하면 AI 뛰어넘을까
2023.09.24
줄기세포를 뇌세포로 분화시켜 만든 3차원 형태의 ‘미니 뇌’다. 케이건 연구원팀의
접시
뇌는 평면에서 자란 뇌세포로, 뇌 오가노이드라고 부르기엔 무리가 있다. 만약 인간 뇌와 비슷한 3차원 뇌 오가노이드를 바이오컴퓨터에 사용한다면 계산 성능 향상은 물론, 기존에서는 상상도 못한 잠재력을 ... ...
NASA "UFO·외계인 증거 부족"…멕시코선 '비(非)인간 미라'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UAP를 목격했다는 진술이 잇따르면서 1940년대엔 미군이 나서 하늘에서 목격된 '비행
접시
'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했다. 당시 보고서의 결론은 NASA가 주도해 UAP 연구를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당국이 UAP에 대한 증거를 은폐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면서 NASA는 2022년 6월 천체물리학자, ... ...
체외수정으로 첫 출산한 여성 5명 중 1명은 이후 '자연임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6.22
유도하는 시술을 뜻한다. 여성의 성숙한 난자와 남성의 정액을 채취해 시험관이나 배양
접시
에 수정한 후 여성의 자궁내막을 이식해 임신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시험관 아기 시술'이란 명칭으로도 알려졌다. 연구팀은 임신 중에 일어나는 호르몬 변화와 출산 후의 스트레스 감소가 여성의 자연 ... ...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가 게임도 했다
과학동아
l
2023.06.17
않았다. 케이건 박사팀은 연구에서 사람의 뇌세포로 만든
접시
뇌가 쥐의 뇌세포로 만든
접시
뇌보다 더 빠르게 게임을 학습했다는 결과를 제시했지만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정말 인간의 뇌세포가 특별한지 문제의 종류에 따라 다를지 사람에 따라서 개인차가 있을지(즉 아인슈타인의 뇌세포로 ... ...
"
접시
에서 뇌세포로 만든 바이오컴퓨터, 5년 내 상용화"
과학동아
l
2023.06.05
놀라게 했다. 연구팀은 우선 미세전극판 위에 뇌세포 80만~100만 개를 배양해 ‘
접시
뇌(DishBrain)’를 만들었다. 이후 컴퓨터와 미세전극판을 연결해 뇌세포와 컴퓨터가 서로 전기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뇌세포 바이오컴퓨터에 탁구처럼 공을 반대편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1877년 연구소를 만들었다. 1883년 연구소의 미생물학자 에밀 크리스티안 한센은 페트리
접시
에 미생물 콜로니를 배양하는 방법으로 칼스버그 맥주의 진짜 맛을 내는 효모를 분리하는 데 성공해 ‘Unterhefe Nr. 1(하면발효 효모 1번)’이라고 이름 지었다. 그 뒤 칼스버그는 이 균주만 사용해 맥주를 ... ...
반창고 대신 붙이는 ‘살아있는 세포 스티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2
유연 박막을 세포 배양 표면으로 사용했다. 박막 표면 자외선 처리를 통해 세포가 배양
접시
에는 안정적으로 붙을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목표 조직으로 옮겨갈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세포 부착 세기를 조절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세포 시트 스티커 기술은 세포가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