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기
쟁반
잔
뉴스
"
접시
"(으)로 총 205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세포 배양 환경 모사한 플라스틱
접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9
이식한 결과, 근육 재상과 손상된 근육 주위 신생혈관 생성량이 기존 플라스틱
접시
에서 배양한 근육세포 대비 최대 5배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선임연구원은 “같은 시간에 배양 시간이 5배 줄었다는 의미”라며 “배양 비용도 확실히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기술이전 등 ... ...
논란의 핼러윈 코스튬
팝뉴스
l
2021.11.11
핼러윈 코스튬이다. 사진을 보는 순간 섬뜩한 느낌을 피하기 힘들다. 반려견이
접시
위에 올려져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반려견이 걸어가면 더욱 무서운 느낌이라고 하는데 물론 착시에 불과하다.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아이디어가 재미있고 유머 넘친다는 ... ...
[프리미엄 리포트]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
과학동아
l
2021.11.06
말했다. 인큐베이터에는 빨간 배지가 담긴 페트리
접시
가 있었다. 이 CTO가 꺼낸 페트리
접시
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자 맨눈으로는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없던 동물세포 덩어리가 눈에 들어왔다. “오늘 막 증식을 시작한 한우 세포입니다.” 배양육을 만들 수 있는 세포의 종류는 무궁무진하다. ... ...
[우주산업 리포트]위성 애용자 미군도 탐낸다는 초저궤도 위성
2021.10.15
개발되고 있는 초저궤도 위성은 비행기처럼 앞이 뾰족하고 후미에 날개가 있거나 얇은
접시
모양을 하고 있다. 모두 중력과 대기 부유물질이 위성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디자인이다.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초저궤도 위성의 상황을 고려해 제안된 디자인 개념도. 출처 earthobservant.com ... ...
우리 은하 중앙서 "한번도 본적없는" 이상한 전파신호 포착
연합뉴스
l
2021.10.13
시간이 흐르면서 이 방향이 회전한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36개의
접시
안테나를 연결해 하나의 망원경처럼 운용하는 ASKAP으로 새로운 변광성을 탐사하다가 처음 이 신호를 포착했다. [CSIRO 제공.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왕 씨의 지도교수인 머피 박사는 ASKAP J173608.2-321635로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
연합뉴스
l
2021.08.18
비말을 통해 침입한 신종 코로나는 곧바로 폐의 깊숙한 부위에 도달했다. 이와 달리
접시
의 표면 접촉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는 코안에서 초기 복제 단계를 거쳤다. 비말이든 접촉이든 본격적인 바이러스 복제는 모두 폐에서 이뤄졌다. 하지만 폐의 손상 정도는 접촉보다 비말 감염에서 훨씬 더 ... ...
미 독립기념일 연휴 델타변이 확산 우려…'2개의 미국' 갈림길
연합뉴스
l
2021.07.04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독립기념일(7월 4일)을 계기로 전염력이 강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지 전문가 ... 이라며 "마스크 없이 식사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행동은 델타 변이를 퍼트리는 배양
접시
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07.03
병원 교수팀은 인간 만능줄기세포를 어그리웰 판(aggrewell plate)이라는 3차원 배양
접시
에 넣고 두 단계에 걸쳐 배양해 배반포 유사체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2019년, 생쥐 만능줄기세포를 대리모 암컷 생쥐에게 이식하면 배반포 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doi: 10.1016/j.cell.2019.09.029 이번 ... ...
알츠하이머도 미토콘드리아 질환? 원인 단백질 연관성 발견
연합뉴스
l
2021.05.21
이 접근법은 건강상의 안전 문제로 제동이 걸렸다. 연구팀은 2014년 개발한, '배양
접시
의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in a dish)'이라는 3차원 세포 모델을 이용해 아베타가 어떻게 생성되는지 파고들었다. 탄지 박사팀과 다른 MGH 과학자들은 2013년에 팔미토일화(palmitoylation)를 거친 APP 유형, 즉 palAPP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
2021.05.20
포자가 우연히 포도상 구균 포자에 떨어진 바로 그 날도, 플레밍은 실험이 끝난 배양
접시
를 세척하지 않고 실험실에 내버려 둔채 휴가를 떠났다. 만약 그가 휴가를 가지 않고 열심히 일했더라면 페니실린 발견은 몇십년 후로 미뤄졌을지 모를 일이다. 이후 그는 여러 방면으로 페니실린의 효과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