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뉴스
"
해발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라이다'...미발굴 유적지 찾는 '첨병'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갈라시아 지역에서 5~7세기 중세시대 거대 요새를 발견했다고 지난 2월 밝혔다. 요새는
해발
400m에 축구장 14개 면적인 10ha(헥타르) 규모로 1.2km에 달하는 성벽, 30개의 석탑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 요새의 일부 건축물이 발견된 적이 있었으나 당시 고고학자들은 15~17세기 지어진 것으로 ... ...
험준한 지형·오래된 연식이 네팔 항공기 사고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않았지만 험준한 산악지형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네팔은 에베레스트를 포함해
해발
8000m급 봉우리 8곳이 있는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이뤄져 있어 트래커들에게는 인기 있는 관광지이지만 항공기 조종사에게는 까다로운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아밋 싱 인도 안전문제재단 창립자는 인도 ... ...
알프스 스키장 일부 문닫아...유럽 이상 고온 기후재앙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무기한 폐쇄하기도 했다. BBC는 '눈 부족'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곳으로 여겨지던
해발
1500m 고도의 스위스 스플뤼겐 리조트마저 잠정 폐업했다고 짚었다. 스위스의 휴양지 아델보덴에서는 오는 7∼8일 예정된 스키 월드컵을 앞두고 눈이 계속 오지 않아 주최 측이 애를 태우고 있는 것으로 ... ...
2023년 첫 해는 서울서 7시 47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시간은
해발
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각이다.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시각이 빨라져
해발
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시각은 발표시각에 비해 2분 가량 빠르다. 올해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고 육지에서는 진도 세방낙조에서 17시 3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지리산 구상나무를 활용, 복원재료를 확보하고 5년 동안 키웠다. 금원산 지역 중에서
해발
약 1100m의 북사면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고 2019년 1350본을 심었다. 3년이 지난 2022년 조사 결과 92.7%가 생존해 초기 활착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으로 기후위기로 소멸 위협이 ... ...
우주개발 사업 계약이행 지체상금 한도 완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8
내용을 담고 있다. '준궤도발사체 정의'는 준궤도발사체 범위를 자체 추진기관에 의해
해발
고도 100km 이상 높이까지 상승한 뒤 하강하도록 설계·제작된 인공우주물체로 정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주개발 기반시설 개방 확대'로는 공공기관 등이 보유할 수 있는 우주개발 기반시설의 정보를 ... ...
첫눈과 함께 찾아온 가을추위…12일 아침 내륙엔 얼음도
동아사이언스
l
2022.10.11
산지는 아침 기온이 0도 내외로 내려가 서리가 내리고 얼음이 얼 수도 있다. 설악산 등
해발
고도가 높은 산지도 기온이 0도 내외로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10일 내린 비와 눈이 얼어붙을 수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3일부터는 기온이 다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가을추위와 함께 ... ...
중국, 세계 최대 '완전 조종 가능' 전파 망원경 착공
연합뉴스
l
2022.09.23
밀도가 낮은 직사각형 모양 분지에 세워져 무선 소음을 최소화한다. 또한 설치 장소는
해발
약 1천800m 높이로 수증기가 관측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신장 천문대는 설명했다. ... ...
분화 직전 지진활동 멈춘 아이슬란드 화산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지하 마그마를 지진파로 관측하거나 화산 주변의
해발
고도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화산 아래 마그마를 모니터링해 화산 분화 징후를 확인하거나 인공위성이 활용된다. 테레사 유바이드 호주 퀸즈랜드대 지구 및 환경과학부 박사후연구원팀은 2018년 ... ...
식물분류학자가 팽나무에 보낸 연애편지
과학동아
l
2022.09.11
합니다. 희귀식물이 사는 곳을 추적해 서식환경을 평가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는
해발
1300m 이상 아고산지역의 침엽수종을 관찰해 기후변화의 영향을 살피는 연구를 해요.” 전국의 식물을 만나러 산과 들을 가리지 않고 누빈다. 못 보던 꽃이 보인다는 지역 주민의 제보를 받고 무인도의 절벽을 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