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뉴스
"
해발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라사막 건너는 '작은멋쟁이' 나비 최장거리 이동 곤충 등극
연합뉴스
l
2021.06.22
나비의 최대 비행 속도가 초속 6m로 혼자 힘으로는 사막을 건너는 것이 극도로 어려워
해발
1~3㎞ 상공에서 뒤바람을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Gao Hu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작은멋쟁이 나비는 탈바꿈 뒤 40시간까지 쉬지 않고 비행할 만큼 충분한 체지방을 가졌으며 ... ...
노벨상 4번 받은 중성미자…미·일 투자 더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명이 이끌고 있는 KNO 추진단을 중심으로 중성미자 검출기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해발
1000m 정도의 산 지하에 50만t의 초순수 물을 채워 중성미자를 검출하겠다는 계획이다. 만에 하나 실제로 구축되면 세계 최대 규모다. 일본 가속기연구소에서 생성된 날아오는 중성미자 검출까지 고려하면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기둥 모양을 간직한 주상절리가 남아 있다. 고성=이창욱 기자 changwooklee@donga.com 운봉산은
해발
285m의 야트막한 산이라 비교적 쉽게 올라갈 수 있습니다. 군부대 초입의 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무지막지한 돌덩이들이 모여있는 장소가 나옵니다. 작으면 농구공, 크면 건물 기둥만 한 돌이 마치 강이 ... ...
드론 비행하고 산소 만들고...인류의 화성 유인 탐사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1
공동으로 진행하는 ‘하이시스(HI-SEAS)’다. 주변이 황량한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중턱
해발
고도 약 2500m에 지어진 돔 형태의 거주지에서 4개월에서 12개월 가량 머물며 대원들의 심리 변화를 기록하고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고립된 생활 공간 속에서 사회성이나 이기심, 이타심이 어떻게 ... ...
[지구는 살아있다]펀치볼, 2억년간 빗방울이 만든 '딥 임팩트'
2021.04.18
넓이는 대략 58㎢로 축구장 8000개가 들어가고도 남을 크기다. 이렇게 넓은 땅 주변으로
해발
고도 800m가 넘는 산들이 둘러싸고 있어 분지 중간에서는 정말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산만 보인다. 그래서 여름 아침에 주변 산에 올라 해안분지를 내려다보면 안개가 소복 담긴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도 ... ...
[르포]기후변화로 멸종위기 맞은 ‘구상나무’, 유전자 관리로 제2 전성기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등과 같은 정보들을 수집하기 위해 현장을 찾았다. 이들을 태우고 한참을 달리던 차는
해발
1000m 지점에 멈춰섰다. 복원 시험지까지는 차가 진입할 수 없는 곳이다. 연구팀은 차에서 내려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며 노트북과 미니 삽 등이 든 가방을 울러멨다. 가방에는 ‘학술조사’란 문구가 적혀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바위가 설악산에서 잠시 쉬다가 그대로 굳어버렸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울산바위는
해발
약 780m에 총 6개의 돌 봉우리가 한 줄로 이어져 있어 멋진 풍경을 만드는 설악산의 대표 바위다. 정상에서는 동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울산바위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강암은 밝은색의 ... ...
인도 '히말라야 빙하 홍수'로 30명 터널에 갇혀…구조 작업 박차
연합뉴스
l
2021.02.08
호수' 피해 지역의 구조대 모습. [EPA=연합뉴스] 전날 오전 우타라칸드주 난다데비산(
해발
7천816m) 인근 지역에서는 빙하 붕괴가 촉발한 홍수가 발생했다. 쓰나미처럼 강력한 급류는 리시강가 수력발전소(13.2MW 규모)와 타포반-비슈누가드 수력발전소(520MW 규모) 등 두 곳을 덮쳤고 다리 5개와 도로, ... ...
2021년 뜨는 첫 해는 유튜브로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실제 일출시각 보다 빨리 해가 뜬다.
해발
고도 100m에서 발표시각보다 2분 먼저 해가 뜨고,
해발
고도 2000m에서는 약 9분 먼저 해가 뜬다. 경자년(庚子年) 마지막 날인 31일 해가 가장 늦게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이날 오후 5시 40분에 해가 진다. 육지에서는 5시 35분 전남 진도 세방낙조에서 ... ...
2021년 첫 해 독도서 7시 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보다 빨리 해를 볼 수 있다.
해발
고도 100m에서 발표시각보다 2분 먼저 해를 볼 수 있고,
해발
고도 2000m에서는 약 9분 먼저 해를 볼 수 있다. 경자년(庚子年) 마지막 날인 31일 해가 가장 늦게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이날 오후 5시 40분까지 해를 볼 수 있고.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 세방낙조에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