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뉴스
"
해발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끝 제9 행성은 자몽크기 블랙홀일까?
연합뉴스
l
2020.07.14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현재 칠레 북부 체로 파촌의
해발
2천682m 천체관측 단지에 건설 중인 베라 C. 루빈 천문대가 완공돼 '시공 유산 탐사'(LSST·Legacy Survey of Space and Time)가 시작되면 1년 안에 제9 행성이 블랙홀인지가 드러날 것으로 전망했다. 태양계 끝에 ... ...
[주말 고고학산책]2000년전 고대 한반도의 국제항
2020.03.21
본토와 교류하기도 쉽습니다. 섬 안에는 남쪽에
해발
고도 90m의 ‘큰섬산’이, 북쪽에
해발
고도 60m의 ‘작은섬산’이 있습니다. 두 산 사이의 평지가 넓지는 않지만, 섬 남쪽의 넓은 암초 지대에서 다양한 식용 조개류가 자랍니다. 주변 다른 섬들에 비해 지하수도 풍부해서 사람이 살기에 어려움이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사이 잘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이는 스페인령에 속하는 아프리카 테네리페섬의
해발
약 2567m의 관측소에서 아침과 저녁에 일어나는 황도광을 관측했다. 관측에는 패브리 패로 간섭현상이 적용된 분광기 장비를 활용했다. 패브리 패로 간섭현상은 파장이 다른 박막을 쌓는 방식으로 ... ...
기해년 마지막 해 오후 5시40분 지고 경자년 첫 해 7시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지평선 너머로 떠오르는 해를 더 빨리 볼 수 있어 실제 일출시각이 빨라지게 된다.
해발
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시각은 발표시각보다 2분가량 빨라진다. 기해년(己亥年) 마지막날인 31일 해가 가장 늦게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이날 오후 5시 40분까지 낙조를 볼 수 있다. 육지에서는 전남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수백 년 동안 생존했다. 5~6세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1000기 크고 작은 무덤들은
해발
50m 구릉 능선을 따라 늘어서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 학자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근까지도 무덤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말이산 고분군에서 가장 규모가 큰 13호분의 경우 1918년 일본 학자 ... ...
화성 바람지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다른 하나는 화성의 산악지대가 지구보다 훨씬 고도가 높다는 점이다. 에베레스트산은
해발
고도가 8848m지만 화성의 산은 고도가 2만 m가 넘는 경우가 흔하다. 베나 연구원은 “이번 결과는 우리가 화성의 기후를 이해하는 데 도움될 것”이라며 “행성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더 많이 배우기 위해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는 지역은 서남극으로 밝혀졌다. 서남극 대륙에는
해발
고도가 해수면보다 낮아 빙하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바닷물과 만나 녹을 수 있는 불안정한 지역이 다수 있었다. 스웨이트 빙하의 경우 두 개 산마루가 바다 쪽으로 흘러가는 빙하의 흐름을 방지턱처럼 막으며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타라나키의 별들'. 미국 사진작가 제임스 오어가 찍었다. 그는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해발
고도 2500m 타라나키 활화산 위로 펼쳐진 하늘을 찍었다. 하늘에는 은하수가 우윳빛깔로 흐르고 그 옆에는 마젤란성운 한 쌍이 보인다. 마젤란성운은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은하로 남반구 하늘에서 볼 ... ...
고산지대에 유리한 유전자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견딜 수 있도록 유전자 적응했을 것으로 가정했다. 케추아족은 이미 수천 년 전부터
해발
3000m 이상 고지대에서 대대손손 살아왔다. 연구팀은 케추아족 429명과, 미국 저지대에 살고 있는 94명의 유전정보를 분석해 비교했다. 그 결과 고지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EGLN1 유전자 발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하나 달라 ‘네이처’ 5월 16일자에는 고단백질체학의 위력을 보여주는 논문이 실렸다.
해발
3280m인 티벳 고원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16만 년 전 턱뼈의 주인이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을 턱뼈에 붙어있는 어금니의 상아질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밝혔기 때문이다. 중국과학원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