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감정"(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2024.03.16
- 스트레스 상황을 선택) ② 도움이 되는 스트레스라고 판단했다면 이 상황이 주는 불편한 감정에만 집중하기보다 이를 이겨내는 방법들에 집중(주의 배분) ③ 그저 다 잘 될거라고 생각하는 등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만 집중하기보다 이 도전을 이겨내는 데 있어 내가 가지고 있는 강점이 무엇인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2024.01.27
- 일이 복잡하고 양이 많아 보이는 데서 오는 두려움과 불안감, 초조함 등에 빠져 이들 감정을 다스리느라 잠깐 인터넷 좀 하고, 이메일 좀 체크 하고, 책상 정리 좀 하고 하자며 샛길로 빠진다. 드디어 마음을 잡고 시작하더라도 자꾸 핸드폰을 체크하고 싶어진다. 잠깐 누구랑 얘기하고 이것저것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2024.01.20
- (특히 새 해 맞이 결심처럼) 처음 계획 할 때는 원대한 포부와 열정, 기대감 같은 감정들이 끼어들곤 한다. 그러다 보니 심지어 과거에 비슷한 일을 할 때 반복해서 실패하고 예상보다 훨씬 오랜 시간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과거의 나’는 미래의 나와 완전히 단절된 존재인 것 마냥 다 잘 될 ...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동아사이언스 l2023.12.10
- 연구센터다. 이곳 연구자들은 수천년 간 인간과 함께 살아 온 가축의 정신적인 부분과 감정적인 삶의 모습을 탐구한다. 사이언스는 최근 '가축은 우둔하며 과학적 관심을 받을 가치가 없다'는 기존의 생각을 뒤집는 연구 결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지난 10년 간 미국, 유럽 등지에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2023.11.19
- 실제로 수술을 받은 환자는 뇌에 원상태로 복구할 수 없는 손상이 가해지므로 성격이나 감정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1970년대 이후에는 이 수술법이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는 모니즈. 위키미디어 제공 ● 뇌의 기능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팔 전쟁 해법은...'집단적 감정'은 어떻게 움직일까2023.10.28
- 시원함을 원하는지, 아니면 냉철함과 장기적인 해법을 원하는지에 따라 생각보다 쉽게 감정적 노선을 바꾼다는 것이다. 남북관계나 한일 관계도 한창 긴장이 고조되었다가 또 갑자기 분위기가 좋아지기도 하는 것처럼 여론이란 한 번 물살을 타면 모두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질을 띄고 있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정적 생각을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2023.10.14
- 수 있도록 잠재적인 위험 요소에 주의를 주게끔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어디까지나 감정에 먹히지 않되 그것의 메시지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지나치게 주의를 빼앗겨 현실적인 문제 해결과는 동떨어진 길을 가게 될 수 있음을 기억하자. Hargus, E., Crane, C., Barnhofer, T., & Williams,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2023.09.16
-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현실을 직면하고 분노와 절망 같은 부정정인 감정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실제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분노와 절망 외에 아직 무언가 할 수 있다고 믿는 희망과 통제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당장 내 작은 행동이 지구를 위기에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2023.09.09
- 군의관을 자청하여 참전하기도 했다. 참고로 프랑스와 독일의 보불전쟁은 양국의 적대 감정이 고조되어 코흐와 파스퇴르를 필두로 한 의학계의 경쟁에서도 큰 라이벌 의식을 발휘함으로써 의학발전에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전쟁은 빨리 끝났고 10대 시절 첫사랑에게 작은 도시에서 조용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2023.07.22
- 나이가 성장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어른’이 되면 보다 성숙한 지적 능력과 감정, 행동 조절능력을 기반으로 더 나은 사람이 될 것 같지만 어른들 사이에서도 타인을 괴롭히는 행동들이 나타난다. 오히려 어른들이 저지르는 괴롭힘은 아이들이 하는 것보다 한 층 더 교묘하고 악랄한 양상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