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강박"(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방역과 자살의 문화심리학2020.11.10
- 문화의 끝판왕인 미국의 보스턴에서 사는 집단주의 성향 대학생은 우울과 불안, 강박장애, 의존성 성격장애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개인주의 성향 대학생은 그 반대였다. 한편 집단주의 문화인 터키의 이스탄불에 사는 개인주의 성향 대학생은 편집증, 분열증, 자기애성 성격장애, 경계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도 어디까지나 인간이라는 점을 인정하라2020.10.17
- 사회에서 보다 우수한 인간이 되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압박하는 탓에 청소년들은 강박적으로 자신을 평가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기준 미달이라고 생각되면 갖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물론 어느 정도의 불안과 스트레스는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문제는 ... ...
- 미래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반식물반'?동아사이언스 l2020.09.18
- 완전히 대체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물을 먹어야 건강하다는 것은 강박관념”이라며 “동물 제품 소비를 줄이고 비건을 생활화하면 세계 농지의 60%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칼로리를 얻는 데 닭고기는 식물의 7배의 에너지를 투입해야 한다”며 “더구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결과는 짧지만 과정은 길다2020.06.20
- 꼭 잘해야할 필요가 없는 ‘취미’ 같은 일에 대해서도 반드시 잘 해야만 한다는 강박에 시달렸다. 피아노도 수영도 춤도 나보다 잘 하는 옆 사람과 비교하며 스트레스를 받곤 했다. 처음부터 잘 하는 사람은 없을텐데도 조금이라도 성과가 지지부진하거나 잘 못한다는 생각이 들면 바로 도망치곤 ... ...
- 항우울제가 코로나19 치료제(?)연합뉴스 l2020.05.14
- 재흡수 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계열의 신세대 항우울제로 우울증, 강박장애(OCD) 치료에 쓰인다. 미국 워싱턴대학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에릭 렌즈 박사 연구팀은 플루복사민이 코로나19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시작한다고 영국의 일간 더 선(The Sun) ... ...
- 코로나19보다 더 무서운 '코로나 노이로제'동아사이언스 l2020.03.05
- 대한 과도한 생각을 떨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일부 강박장애 환자들은 밖에 나가면 세균에 오염돼 위험해질까, 하늘이 무너질까, 갑자기 벼락이 칠까 등 과도한 불안을 느낀다"며 "이런 환자들에게도 우려하는 일이 일생 동안 일어날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 ...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2020.02.01
- 더 부추길 수도 있다. 바이러스의 전파보다 빠른 것이 바로 유언비어다. 오염 회피의 강박적 심리 모듈은 아주 강력하다. 오랜 진화적 역사를 가진 정신적 기전이다. 그러나 밀집된 도시에 수많은 사람이 모여 사는 현대 사회에서 감염자 차별과 배제의 문화는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 ...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2019.12.21
- 유리하다? 터무니 없는 말이다. 위생과 청결은 인간이 가진 독특한 행동 양상이다. 강박적인 행동이 위생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진화했다는 주장도 있을 정도다. 하지만 그리 인간의 타고난 위생 관념은 별로 합리적이지는 않다. 감염 위험성이 낮은 에이즈나 사스, 광우병에 대해서는 엄청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2019.11.19
- 적용했다. DMN의 지배력이 클수록 뇌의 엔트로피가 낮아지고 그 극단이 우울증과 중독, 강박이라는 것이다. 반면 DMN의 영향력이 약화돼 뇌의 엔트로피가 높은 상태의 극단이 사이키델릭을 복용했을 때다. 사이키델릭이 우울증이나 중독에 효과가 탁월한 이유도 엔트로피 뇌 가설로 쉽게 설명할 수 ... ...
- 노년층 정신건강 심각…우울증 환자 10명중 4명은 60세 이상연합뉴스 l2019.10.02
- 507.4%에 달했다. 다른 연령층은 줄어들거나 소폭 상승했는데, 고연령층만 급증했다. 강박 장애(F42)는 같은 기간 20~29세 46.7%, 60~69세 49.4%, 80세 이상 93.3% 등 증가율을 나타냈다.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 장애(F43)의 경우 같은 기간 20~29세 45.5%, 60~69세 52.2%, 70~79세 58.1%, 80세 이상 138.2%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