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공학"(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규원전의 롤모델, 지역경제와 결합한 세계의 원전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6
- 원자력발전소 부근에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본부와 원자력과학연구소, 핵연료사이클공학연구소 등 원전 관련 시설이 밀집해 있다. 부근의 히타치시에는 히타치사 등 원전관련 산업체가, 도카이무라촌의 평원공업단지에는 원전관련 대기업과 협력하는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다. 일본은 원전 ... ...
- 동북아 원자력 안전 미래 향한 ‘뉴 클리어로드’ 의 출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박윤원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동북아 원자력안전 리더십’이라는 주제로 향후 원자력 안전 분야에서 동북아시아의 위상에 대해 발표했다. 박 교수는 “2030년이면 전 세계 원전의 1/3이 동북아에 집중돼 원자력안전 분야에서 ... ...
-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대해 많이 알아도 발전소에 대해 모르면 부정적인 분들이 많아요. 카이스트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유학까지 갔다온 친구가 원전에 대해 불신하는 데에는 할 말이 없었어요. 학자는 수많은 실험 중 1%만 성공해도 성공하지만 엔지니어는 0.01%만 실패해도 실패한다는 게 우리 원전 기술인들의 ... ...
- ['고리 1호기' 특집(4)] 다 쓴 원전, 안전하게 해체한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대학교도 분주하다. 원전해체 과정은 화학공학, 전자제어, 원자력공학, 환경공학, 로봇공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이 종합적으로 필요한 ‘융합기술’이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출연연구기관 중에서는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기술협의체에 참여하여 융합연구를 ... ...
- ‘IT창의과학탐험대’, IT 연구의 최전선을 취재하다동아사이언스 l2015.10.22
- 카메라에 쓰이는 반사경과 망원경을 둘러봤다. 이후 KAIST로 자리를 옮겨 항공우주공학과 심현철 교수팀의 드론 시연을 체험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위성 천리안의 모형이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를 다녀왔다. 이번 견학은 지난달 4회에 걸쳐 진행된 IT 관련 수업 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다는 ... ...
- 반도체와 단백질로 물에서 수소를 생산한다동아사이언스 l2015.10.01
- 만나 이번 연구에 대한 얘기를 들어봤다. 남 교수의 원래 전공은 재료공학이다. 재료공학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인공광합성에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됐을까. “박사과정 때 바이러스로 배터리를 만드는 연구를 했어요. 조개껍질을 만드는 원리를 이용했는데, 거기에 사용되는 단백질과 무기물에 ... ...
-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미국 인공광합성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2015.10.01
- 얻게 될 것이란 뜻이다. 하지만 이런 비전을 현실로 바꾸기 위해서는 많은 과학적, 공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에 JCAP에서 진행한 기술 평가에 따르면, 태양빛과 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데 쓰이는 광전기화학 장치의 효율과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이 성공적인 기술을 달성하기 위해 대단히 ... ...
- 원자력에너지 분야에서의 러시아 도약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27
- 구성돼 있으며 전체 직원만 25만 5000여 명이나 되는 거대 조직이다. 옛 소련의 원자력공학부가 2004년 러시아 연방 원자력청으로 재조직됐고, 2007년에는 러시아 연방 원자력청이 국영기업인 로사톰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군ㆍ민간 원자력회사, 연구소, 원자력ㆍ방사선 안전기관 등을 포함해 ...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5.08.20
- KAIST 박찬범 교수팀의 연구성과가 표지논문. - Advanced Materials 제공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찬범 교수 연구팀은 2010년 나노 크기의 광감응 소재를 이용해 인공광합성 원천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연구팀은 자연 광합성 시스템의 광반응을 모방하기 위해 태양전지에 쓰이는 수nm 크기의 양자점(quantum ... ...
- Post 2020, 미래 에너지를 준비하는 논의의 장 열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8.11
-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정주용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허균영 경희대학교 원자력공학과 교수)으로 구성됐다. 이번 출범식에서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을 위한 제언’이라는 주제로 좌담회도 개최됐다. 좌담회에는 심준섭 교수를 제외한 9명이 참석하고 김호성 이사장이 좌장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