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공학"(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달리 바이오 분야 외에도 공학, 과학 관련 연구자가 모여 있어 나노 분야, 화학 분야, 재료공학 분야, 물리 분야의 연구자와 융합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언젠가 가능하다면 울산시의 병원과 연계해 신약, 새로운 진단법 개발과 관련된 응용 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겁니다." * 본 콘텐츠는 ...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KOITA l2015.02.16
- 2011년에도 두 차례 무인기 오폭으로 민간인 40명이 목숨을 잃었다. 김수현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인간 정찰병 없이 무인기를 통해 전송된 영상의 패턴만 분석하다보니 민간인과 군인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미국 조지아공대 로널드 아킨 교수는 “전쟁에 관한 ... ...
- 양파 먹인 광어가 ‘쵝오’에요! 2015.01.26
- 만큼 광어 양식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두운 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팀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최종순, 권요셉 책임연구원 팀은 양파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겨울철 광어의 새끼인 치어의 생존률을 6배 이상 높였다고 21일 밝혔다. 광어 떼죽음의 원인은 출혈성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데 성공했다. 수술 없이 뇌파를 읽어내는 장치도 개발 중이다. 박광석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 교수팀은 등산용 모자처럼 생긴 장치를 쓰고 생각만으로 휠체어를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장치는 지금까지 개발된 뇌파 측정 장치 중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것이 장점이다. 뇌신호 기술을 상용화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2015.01.20
- ●한국형 로봇 보조기기 개발 한창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로봇 연구자들과 의공학 연구자들과 함께 다양한 노약자를 위한 근력 보조기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필자 역시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받아 필자 역시 연구를 수행 하고 노약자의 근력보조 기구를 개발하고 있다. 피부에서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2015.01.20
- 이런 인공눈 개발이 한창이다. 정흠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와 김성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 등이 앞서 나가고 있다. 이 인공눈은 기존 시스템의 단점인 수술 부담을 크게 줄였다. 지금까지는 인공눈 센서를 이식하려면 눈 뒤편 망막에 직접 시신경을 연결해야 했다. 수술을 통해 눈동자에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2015.01.20
- 주 인간과 기계가 하나가 되는 세상. 로봇공학과 생체공학이 하나가 되는 세상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습니다. 사고로 팔 다리를 잃은 사람도 로봇 팔을 이식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시력이나 청력을 잃은 사람도 정상인처럼 생활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사이보그 기술, 일명 ‘바이오닉 기술’은 ... ...
- [기술이 바꾼 미래]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인터뷰 “사소한 불편을 참지 마라"KOITA l2015.01.20
- 생각한다. 최근 다이슨은 RDD센터를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로봇공학, 모터, 재료과학, 항공공학, 음향학 등 더욱 다양한 연구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지치지 않는 발명가 제임스 다이슨. 그는 또 어떤 불편함을 해결해 돌아올까.“우리 회사는 대학을 갓 졸업한 학생들을 주로 채용합니다. 무엇이 ...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IBS l2015.01.16
- 꾸지 못할 것이다. 딱딱하고 거추장스러운 기판의 제약 탓에 몸의 움직임을 고려한 인체공학적 디자인은 진작에 포기해야 했을 것이다. 세계의 주요 기업과 연구진이 '플렉서블' 소자를 개발하는 데 매달리는 이유도 이처럼 웨어러블 시대, 휴대성과 편의성, 성능을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는 ...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KOITA l2015.01.14
- 위한 노력을 우선하다 보면 이런 일을 놓치는 경우가 생긴다.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비행사 매뉴얼은 위급상황에 의미 없이 교신을 하려하기 보단 기체를 되살리는데 최선을 다하도록 돼 있다”며 “당연한 조치라고 할 수 있지만 항공기 잔해를 수습하는 사람들은 이 때문에 ... ...
이전123456789 다음